6·2지방선거 여파 지속

[지역기사 포커스] 경남·경북지역 신문

4대강 사업 재검토 등 지역사회 요동

경남·경북지역 신문들은 ‘6·2지방선거’의 여파를 비중있게 다뤘다. 이 신문들은 새 광역단체장 당선자들이 인수위원회 활동을 마무리하고 본격 업무에 들어간다는 소식과 함께, 퇴임하는 단체장의 평가와 인터뷰를 게재했다.

또한 반 여권 성향의 단체장들의 공약으로 인해 4대강 사업이 재검토되고 세종시안 폐기가 공론화되면서 지역사회가 요동치고 있다고 보도했다.

경남도민일보는 29일자 3면에 도지사 인수위원회가 28일 해단하면서 김두관 당선자에게 전한 보고서 내용을 간추려 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경남도 일부 역점사업 폐기와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진단이다. 특히 인수위 4대강환경특위는 정부의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요모조모 지적하고 “낙동강사업 저지와 대안 제시를 위해 연구용역을 추진하겠다”고 말한 것을 주요 제목으로 뽑았다.

경남도민은 또 25일자 3면을 통해서 보궐선거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정치자금법 위반혐의로 기소된 민주당 최철국 국회의원에 대한 2심 선고에서 의원직 상실형이 내려져 벌써 최 의원의 지역구인 김해 을 선거구의 보궐선거 일정이 언제인지가 시민들 사이에서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는 소식이다.

경남신문은 물러난 김태호 도지사의 6년 도정을 상하로 나눠 살폈다. 25일 ‘상-새로 쓴 경남도정’에서 경남신문은 “그의 6년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남해안 시대를 열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도내에 산재한 빛나는 문화유산을 이용한 관광산업 활성화도 주창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28일 ‘하-남은 과제는’에서는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동향이나 측근을 요직에 기용하는 등 ‘김태호식 인사’는 개선돼야 할 과제로 남았다”고 진단을 내렸다.

영남일보는 세종시 수정안 폐기 논의가 거론되고 있지만 대구지역으로서는 반길 만한 소식이 아니라고 분석했다.

영남일보는 25일자에서 “세종시 수정안의 폐기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대구지역 대기업 유치는 비관적”이라며 “적정한 땅, 유관 중소기업 부재는 물론 대구는 큰 밑그림이 없고 정치적 돌파력도 없다. 특히 친이, 친박으로 갈라진 지역 한나라당의 정치적 역학구도가 대구 발전의 동력을 훼손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고 전했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