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육아휴직 대책 마련 절실
인원보충 없이 타 부원 대직…업무부담 호소 늘어
출산 및 육아휴직을 떠나는 기자들이 늘고 있다. 결원으로 인한 업무 부담을 호소하는 기자들도 있어 근본 대책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다.
국제신문은 최근 편집부, 생활과학부, 정치부, 문화부 등에서 모두 5명의 여기자들이 출산·육아휴직을 떠났다. 1년마다 있는 정기인사를 통해서 사전에 이들에 대한 인사 조치를 했으나 남은 부원들은 휴가를 떠나지 못할 정도로 업무가 과중한 상황이다.
한겨레신문도 여기자들이 잇따라 출산·육아휴직을 떠나거나 떠날 예정이다. 현재 모두 7명이 결원이다. 이달 말 있을 인사도 이에 따른 인사조치 성격이 강하다. 세계일보도 지난해 문화부 소속 2명의 여기자가 1년 가까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여기자 비율이 전체의 33%를 차지하는 시사IN도 남녀 기자 2명이 지난해 육아휴직을 썼다. 국내 언론사의 여기자 비율은 10~20% 정도다.
이처럼 출산·육아휴직을 떠나는 기자들이 많지만 언론사들의 출산·육아 휴직 대비책은 민망한 수준이다. 결원을 채울 별도의 인력을 구하기보단, 소속이 다른 부원들이 대신하는 식이다. 국제신문 한 기자는 “편집미술 파트는 2~3개월 아르바이트를 구하기도 했다”며 “그러나 펜 기자는 대체 인력을 뽑을 수 없기 때문에 다른 기자들이 업무를 분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여기자들도 출산·육아휴직을 마음 놓고 쓰지 못한다. 출산휴가는 비교적 인정이 되는 편이나 육아휴직은 사용이 쉽지 않다. ‘꼭 써야 하느냐’는 데스크의 반응이 돌아오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법에서 1년 이내의 사용을 보장하고 있지만 신문사들은 대개 2~3개월 정도를 인정하고 있다.
중앙일간지 한 신문사 여기자는 장기간 기러기가족으로 지내다, 육아의 어려움을 겪고 회사를 관둔 사례도 있다. 한 여기자는 “육아·출산 휴가도 잦을 뿐더러 1~3개월의 단기 해외연수 등도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회사 차원의 구체적인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남성 기자는 “육아 휴직은 남자 기자도 사용할 수 있지만 기자사회에서 이는 불가능한 이야기”라며 “채용 때부터 이를 감안한 채용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