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뉴스 중심 콘텐츠로는 속보경쟁도 어려워스마트폰의 출시로 신문사들이 잇달아 뉴스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을 선보이고 있는 가운데 지상파방송사들의 어플 개발은 상대적으로 뒤처져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국내 방송사 중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 곳은 KBS, MBC, YTN, CBS다. 이들 중 YTN은 국내 뉴스 어플로는 유일하게 생방송을 채택하고 있다.
지난 2월11일 첫 선을 보인 애플 아이폰용 ‘YTN’ 어플은 텍스트형의 속보, 인기기사는 물론 무선인터넷(WiFi)이 연결된 상태에서 생방송 서비스까지 가능하다. 스마트폰이 아닌 기존 휴대전화에서 월 1천원을 내야 받아볼 수 있었던 단문 속보 메시지는 YTN 어플을 내려받은 사람은 누구나 무료로 받아볼 수 있다. 이 메시지 서비스는 팝업 형태로 제공돼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 때문인지 YTN 뉴스 어플의 다운로드 수는 3주 만에 10만 여건에 육박할 정도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CBS 역시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노컷뉴스’ 어플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CBS의 ‘레인보우’라는 이름의 어플을 통해서 라디오 청취도 가능하도록 해놓았다.
이에 비해 지상파방송사들의 어플 개발은 상대적으로 더디다. KBS와 MBC는 지난해 말 라디오 어플을 개발하는 데에 그쳤다. 그나마 MBC는 국내 라디오를 제공하고 있어 상황이 나은 편이다. KBS는 국내가 아닌, 해외 동포들을 위한 국제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SBS는 아직 출시한 어플이 없다. 하지만 오는 5~7월 TV와 라디오 어플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말부터 어플 개발에 나선 SBS는 실제 개발은 마무리 단계이나, 내부 모바일 정책과 타사와의 협의 등이 남아 있어 다소 시일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상파방송사들의 이 같은 행보는 같은 방송계열인 YTN, CBS는 물론이고 신문·통신사들의 어플 개발 유행과도 대조적인 모습이다. 국내에는 이미 10개가 넘는 뉴스 어플이 출시돼 있다.
지상파방송사 관계자들은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어플 개발이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는 회색빛 전망을 내놓는다. 메인뉴스를 기준으로 생산되는 기존 콘텐츠들로는 속보 중심의 신문 콘텐츠와 경쟁해 우위를 점하기 힘들다는 주장이다. 보도국의 시스템 개편까지 염두에 둬야 해 현실적으로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YTN과 같은 생방송 제공도 현실화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분석이다. 모바일 정책 전반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지상파 및 위성DMB를 통해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실상 같은 시장에 비슷한 콘텐츠를 내놓는 꼴이라는 것이다.
KBS 한 관계자는 “모바일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웬만한 콘텐츠를 다 볼 수 있다”며 “스마트폰에서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굳이 어플 개발을 해야 할 필요를 못 느낀다”고 말했다.
이는 수익 측면에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지상파DMB 등은 한국방송광고공사가 광고 수주를 맡아 진행하고 있으나, 어플의 생방송은 따로 광고 수주가 이뤄지고 있지 않다.
YTN도 케이블TV에 나오는 광고와 동일한 광고를 어플 생방송에 내보내고 있지만 별도로 과금을 하는 않는다.
YTN 한 관계자는 “10만 다운로드는 방송광고계에서 미미한 수치”라며 “시장이 확대되면 수익 창출도 기대할 수 있으나 현 단계에서는 시청자 서비스 확대 측면이 강하다”고 말했다.
TV를 통해 창출된 다양한 프로그램, 즉 드라마와 오락 콘텐츠의 모바일 제공도 중대한 고민거리다. 콘텐츠의 불법 유통은 모바일에서도 큰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비책이 없는 어플 개발은 득보다 실이 크다는 게 지상파 관계자들의 손익계산이다.
스마트폰을 필두로 한 모바일 시장이 최근 정체현상을 보이는 등 시장이 유동적이라는 점도 지상파방송사들의 고민을 깊게 한다.
그러나 지상파방송들이 시청자들에게 무료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는 만큼, 어플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반론도 있다.
MBC 뉴미디어기획부 한 관계자는 “해외의 동영상 어플을 통해서 우리 콘텐츠를 무료로 보고 있는 실정”이라며 “어플 개발은 어려운 게 아니나 유료화, 저작권 등 여러 문제가 걸려 있어 시일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