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신협-NHN '옴부즈맨 제도' 갈등

온신협 "제도 자체 폐지해야"
NHN "이용자 요구…설득할 것"

NHN이 언론사들의 뉴스캐스트에 대해 옴부즈맨 제도를 강행키로 하면서 온라인신문협회와 갈등을 빚고 있다.

중앙일간지 12개사 인터넷신문 모임인 온라인신문협회(온신협)은 2일 공식 입장을 내어 “NHN이 일방적으로 옴부즈맨 제도를 시행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시한다”고 밝혔다.

온신협은 이날 ‘옴부즈맨 제도 시행에 따른 온신협의 공식 입장’이라는 글을 통해서 “언론사가 이미 편집한 기사에 대해 외부 전문가들이 호·불호를 평가해 공개하는 옴부즈맨 제도는 언론의 편집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이며 자칫 사후 검열 논란을 낳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옴부즈맨 용어는 언론사가 쓰는 것이며 뉴스 유통회사가 쓸 용어가 아니다”라면서 “이용자에게 전면 공개하는 방식인 카페 운용은 폐지해야 하며 차제에 옴부즈맨 제도도 폐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온신협이 이같이 강경한 입장을 낸 데는 NHN이 제도 시행 과정에서 사전에 언론사들과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NHN의 옴부즈맨 제도는 각 언론사가 편집한 네이버의 뉴스캐스트 영역을 NHN이 자체적으로 위촉한 언론인 출신이 아닌, 외부 인사들인 옴부즈맨들이 평가하고 그 결과를 누리꾼들에게 공개한다는 점에서 사후 심의 논란이 뜨겁다.

또한 온신협이 지난달 29일 “날짜를 정한 뒤 무조건 따라오라는 식의 방식은 문제가 있으니 시행을 연기해 달라”는 공문을 NHN 측에 보냈으나, 다음날 NHN이 “각 사가 이용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양질의 뉴스 편집을 해줄 것이라는 믿음이 깨졌다”며 강행 의지를 내비치면서 감정의 골이 깊어졌다.

이와 관련해 NHN 한 관계자는 “이용자(독자)들이 요구하는 것이 있고 그것이 언론사들의 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면서 “그러나 뉴스캐스트를 통해 어떻게 하면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우리나 언론사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언론사들에게) 제도에 대해 더 알리고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