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댐 보고서
219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기획보도 방송부문/울산MBC 박치현 기자
|
|
|
|
|
▲ 울산MBC 박치현 기자 |
|
|
지금 한반도 댐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과연 댐은 안전한가? 우리가 마시는 댐에는 어떤 유해물질이 들어 있는가?
이런 의문을 가지고 취재에 착수, 한반도 댐의 역사를 다시 쓴다는 자부심으로 댐 현장과 수자원공사를 수도 없이 방문했다.
하지만 자료 접근의 한계에 봉착했다.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가 ‘댐은 국가보안시설’로 자료 공개가 불가능하다며 철저한 비밀에 부친 채 전혀 문제가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큰 사고 앞에는 항상 여러 차례 이상 징후가 발견된다는 하인리히 법칙이 한반도 댐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폭우에 속절없이 무너지는 중·소형댐, 부실공사로 누수가 진행되면서 붕괴위기를 맞은 댐, 정수장의 항생물질 검출 등 각종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필자는 우선 댐 조사 용역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대학교수들을 만나 그동안 숨겨져 왔던 자료를 수집했다. 수자원 관련 기관의 지인들도 끈질기게 설득해 비공개 문서를 찾아냈다.
한반도 댐은 예상보다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우선 댐 전문가들의 도움으로 홍수나 지진 때 우리나라 댐이 어느 규모의 충격에 붕괴될 수 있는지를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수자원공사가 댐 안전을 과대평가하고 있다는 반론을 얻어냈다. 이에 수자원공사는 방송 자제 요청 공문을 보내왔고 시뮬레이션에 참여한 교수들의 자질을 문제 삼았다. 그러나 취재에 참여한 교수들은 국내 몇 명 안 되는 댐 전문가들로, 수자원공사의 용역을 맡은 경험이 있었다.
소양강을 비롯한 대형 댐들은 홍수에 매우 취약하다. 기상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하루 가능 최대 강수량은 1천mm이고 이런 비는 언제든지 내릴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대부분 댐은 물이 넘치면서 붕괴되는 것으로 이번 취재 결과 드러났다.
방송이 나간 후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는 별다른 말이 없었다. 댐은 두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 겉모습은 건강해 보였다. 그러나 속은 병들고 힘이 없었다.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댐의 그늘이 예상보다 심각했다. 취재를 하면서 한반도 댐의 소리 없는 경고를 똑똑히 들었다. 창밖의 바람을 방안에서 바람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다. 댐이 안전하다고만 주장하는 수자원 당국에 진실의 창문을 열고 댐과 대화해 보기를 당부하고 싶다.
울산MBC 박치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