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주·장] 철저한 진상 규명을

언론 스스로 자정에 나서야 한다

‘불법 대출과 로비 의혹’으로 요약되는 이른바 ‘정현준 게이트’ 사건에 언론인이 연루돼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상당수 언론인이 관련 주식을 보유한 것은 물론, 정씨가 조성한 사설펀드에도 가입한 사실을 검찰이 이미 포착했고, 신원을 확인중이라고 한다.

이와 관련 우리는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심정으로 성역 없는 수사를 검찰에 촉구한다. 그 대상이 누구든 철저한 수사로 시시비비를 명확히 가리라는 것이다. 지극히 당연한 이 원칙론을 새삼 강조하는 이유는 우리 사회에서 이른바 ‘권력층’이 연루된 부정부패 사건이 한 점 의혹 없이 마무리된 선례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이번 수사가 전형적인 ‘권력형 비리 수사’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데 대해 우려를 나타내지 않을 수 없다. 예컨대 검찰 주변에서는 검찰이 여러 가지 실정법 상의 문제를 들어 ‘정현준 사설펀드’에 가입한 사람들의 명단을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또 검찰이 언론의 진실규명 요구에 재갈을 물리기 위해 언론계 인사들의 연루설을 적절히 활용하려 한다는 ‘음모론’까지 제기되고 있다.

우리는 이같은 소문과 추측이 사실이 아니기를 바란다. 우리는 언론인을 성역으로 인정하는 것도, 그 언론인을 활용해 또 다른 성역을 보호하려는 시도도 결코 용납할 수 없다.

검찰의 수사와는 관계없이 썩은 살을 도려내는 각오로 진실을 밝히려는 노력이 언론계 내부에서도 이뤄져야 함은 자명하다. 현재 언론사마다 검찰이나 자체 조사를 통해 ‘정현준 게이트’ 관련 자사 정보를 파악하기에 여념이 없다고 한다.

문제는 이를 어떻게 처리하느냐다. 일부에서 거론되는 것처럼 언론사들이 진상을 어느 정도 파악했으면서도 입 단속만 하고 있거나 경쟁사 죽이기에만 이용하려 한다면 이는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이며 더 이상 언론이기를 포기하는 선언에 다름 아니다.

이번 사건이 있기 전부터 벤처기업과 언론인들의 유착관계는 공공연한 비밀로 회자돼왔다. 홍보성 기사를 써주는 대가로 주식을 받았다거나 벤처기업의 내부정보를 이용해 주식을 사고 팔아 시세차익을 챙겼다는 등의 이야기들이 끊임없이 나돌았고, 일부는 관련 기관의 고발과 수사를 통해 사실로 밝혀지기도 했다.

그 동안에는 그저 소문이라거나 극소수 ‘문제있는’ 기자들의 행각으로만 몰아붙일 수 있었지만, 이제더이상 그런 형국이 아님을 언론계 전체가 인식해야 한다. 각 언론사는 엄격한 잣대를 가지고 자정을 위한 조치와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처방을 마련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고해성사’를 해서라도 언론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해소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언론계가 이같은 노력을 외면하고 일부 비리 언론인을 끌어안기에 급급해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국민은 언론을 ‘부패한 권력집단’으로 치부할 수밖에 없다는 어느 시민단체의 경고를 이 시점에서 뼈아프게 새겨들을 일이다.
편집국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