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 1000만원 시대
[기획보도 신문·통신부문] 경향신문 최민영 기자
|
|
|
|
|
▲ 경향신문 최민영 기자 |
|
|
지난해 12월초에 참여연대 측으로부터 대학 등록금 관련 기획을 함께 해보면 어떻겠냐는 제안을 받았다. 노동부에서 교육부로 출입처를 옮긴 2007년 초부터 질문 하나가 머리에서 떠나지 않던 터라 냉큼 그러자고 대답했다. “저임금 비정규직은 갈수록 늘어나는데, 교육비 부담으로 허리가 휘는 사회에서 교육권이 어떻게 보장 되냐”는 것인데, 교육계의 복잡한 지형을 겨우 눈에 익힌 교육담당 1년차로서는 해답 찾기가 쉽지 않았다.
특별취재팀은 나를 포함해 일단 3명으로 단출하게 출발했다. 전국 25개 대학에서 등록금 설문조사로 기본취재에 착수했다. 조사결과 대학가의 풍경은 외환위기 이후 10년간 많이 달라져 있었다. 연 1천만원 등록금 때문에 부업하고 휴학하는 학생이 적지 않았다.
통계숫자만으로는 현상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겠다 싶어 학생·학부모와 대학측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는 쪽으로 취재방향을 잡았다. ‘귀’를 크게 열기 위해 팀은 사회부 교육팀과 경찰팀, 전국부로 대폭 확대됐다. 취재를 하면 할수록 등록금 문제는 심각했다. 등록금을 대출받는 학생들은 졸업해도 ‘88만원 세대’에 불과한 경우가 많아 상환능력 없이 신용불량 위기에 내몰리고 있었다.
이번 수상은 명단에 오른 11명의 선후배 외에도 많은 기자들의 현장취재가 없었다면 불가능했다. 특히 조호연 사회에디터는 기획에 처음 착수했던 사회부장 시절부터 ‘등록금 1000만원 시대’ 기획의 방향을 가다듬는데 큰 역할을 맡았다.
하지만 “기사가 1월 중순이 아니라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보도됐더라면 2009학년도 등록금도 깎을 수 있었다”는 한 참여연대 활동가의 질책은 참 아팠다. 그나마 본 보도를 계기로 총선에서 각 정당이 등록금 관련 공약을 내놓고, 시민사회에서 등록금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점이 마음의 짐을 덜게 한다.
경향신문 최민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