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려환자 관리실태 / 경인일보 추성남 기자

[지역취재보도부문]


   
 
  ▲ 경인일보 추성남 기자  
 
6월 ‘오산에서 20대 정신지체 장애인이 집에서 10분 거리의 한 병원에서 출입문에 머리가 끼어 숨졌다’는 기사를 접했을 땐 경인일보에 입사한지 2개월밖에 안된 수습기자였다. ‘어떻게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있을 수 있는지’ 그저 놀랄 뿐이었다. 한달 뒤 수습이 끝나고 사회부로 정식발령을 받은 이후 또 한번의 황당한 기사를 접했다. 40대의 가정주부가 행방불명 된지 8년 만에 20대 정신지체 장애인이 숨진 그 병원에서 70세의 치매환자로 둔갑됐다는 소식에 많은 생각을 갖게 됐다.

그러던 중 사회부 선배로부터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지 함께 취재해보자”는 제안을 받았다. 행려자 관리가 도대체 어떻게 되고 있기에 이런 일이 2번이나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선배와 함께 오산의 정신병원과 노인요양원, 보건소와 경찰서, 관할 지자체를 돌며 행려자 관리 실태와 그들의 입장을 듣기 시작했다.

하지만 취재가 계속될수록 의문이 풀리지 않았다. 특히 경찰서와 지자체에서 “최소 6개월에 한 번씩 행려환자를 대상으로 지문채취와 DNA검사를 통해 신원을 확인한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병원들은 “신원 확인은 관할 지자체와 경찰에서 알아서 할 문제고, 자신들이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여 지자체와 병원간의 유기적인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게 취재를 하던 중 경기경찰청에서 경기도내 무연고자 시설 6곳의 8백여 명의 행려자를 대상으로 신원확인에 나선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해당 병원을 대상으로 취재를 넓혀갔다.
하지만 병원을 취재를 하면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대다수 병원관계자들에게서 “신원이 확인된 환자의 가족 대부분이 인수하기를 꺼려한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

이번 취재를 하면서 지자체와 행려자 수용 의료기관의 유기적인 의사소통과 관심이 행려환자를 최소화하고, 가족임에도 불구하고 인수를 거부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만들지 않는 길이 될 것 같다는 나름대로의 결론을 얻었다.

이제 막 기자생활을 시작한 내게 이번 기자상의 영광은 앞으로 더 열심히 하라는 선배들의 격려로 생각하고, 기자로서의 맡은바 소명을 이루기 위해 또 전진할 것이다. 경인일보 추성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