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2일 국무회의에서 발표한 기사송고실 통·폐합과 관련해 경찰 출입기자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경찰 기자들은 우선 경찰서의 기사송고실을 없애고 브리핑룸이 통합운영되면 경찰서 출입자체가 힘들어지고 엠바고(보도제한)도 사실상 지켜지지 않게 된다고 지적했다.
기자들은 또 민감한 사건·사고가 무방비로 노출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가지고 이득을 취하는 일명 ‘사이비 언론’들이 대량 양산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경찰서 출입 3년 차인 한 기자는 “경찰서 출입이 힘들게 되면 형사계 등 주요 정보를 가지고 있는 곳의 접근이 어려워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경찰 수사 과정 전부를 공개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경찰이 물타기식 정보를 제공한 것인지, 수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인지 감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경찰서 인권침해 문제의 경우 지금도 1백% 잡아낸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기자들이 상주해 있는 상황에서 수사하는 것과 단독으로 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강남경찰서 출입기자단 강건택 간사(연합뉴스)도 “‘김승연 보복 폭행’사건은 언론의 대대적 보도로 자칫 숨겨질 수 있었던 사건이 밝혀진 좋은 예”라며 “브리핑제로 전환돼 일부 부서에 대한 출입이 제한되고 경찰이 제공하는 정보만 제공되면 이에 대한 감시가 느슨해 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경찰서에서 엠바고가 없어지는 것도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다. 경찰서는 어느 부처보다 엠바고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 중앙일간지 사회부 기자는 “경찰이 수사중인 사건에 대해 언제, 어느 선까지 공개할지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사실상 엠바고는 사라지게 된다”며 “이로 인해 유괴범 사건 등 (엠바고를) 무기한 연기해야 하는 사건의 경우에도 무방비로 언론에 노출돼 공범을 놓친다든지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기업 비리, 뇌물 수수, 성폭행, 마약 등 민감하고 자극적인 내용을 주로 다루는 수사기관의 특성상 ‘사이비 언론’의 대량 양산으로 몸살을 앓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한 경찰 출입기자는 “경찰 분야는 기자단 가입이 까다롭다. 이에 대한 견해는 엇갈리지만 정보장사를 일삼는 '사이비언론' 방지차원에서 긍정적인 부분이 있었다”며 “그러나 브리핑제로 전환할 경우 사이비 언론들까지 취재에 나서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을 무차별적으로 유포하거나 협박·사기 행각을 벌일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시경 분야는 17개 언론사만이 기자단에 가입해 있다. 기자단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1년의 검증기간 등을 두는 등 까다롭게 진행된다. 이는 경찰 정보에 기업인 비리, 성폭행 사건 등 민감하고 자극적인 정보가 많아 언론사, 혹은 개인의 영리를 목적으로 정보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언론사는 출입기자단 가입을 할 수 없도록 한데 따른 것이다.
이외에도 각 경찰서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조처라는 지적도 따랐다.
마포경찰서 출입기자단 장재은 간사(연합뉴스)도 “마포서의 경우 ‘광역수사대’에서 나오는 정보를 포함해 처리하고 있고 공익에 관련된 큰 사건이 많아 엠바고도 많았다”며 “통합브리핑 룸에서 각 경찰서에서 공개돼 온 정보를 얼마만큼 처리할지 알 수 없고 엠바고도 사라져 정보가 새나가는 등의 피해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곽선미 기자 [email protected]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