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 주동자 선별 징계 움직임

사측 내부 논의에 기자들 반발 잇따를 듯

보도국 기자 전원을 징계위에 회부한 CBS가 사내·외의 빗발치는 반발에 밀려 선별 징계로 후퇴할 것으로 보인다.

26일 오전 10시 2차 징계위원회를 앞두고 있는 사측은 파행방송의 주동자를 선별해서 징계하고 나머지 기자들은 징계 자체를 철회할 것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의 한 징계위원은 “선별과정을 거쳐서 몇몇 주동자만을 징계하고 나머지 징계 대상자들은 징계를 기각하자는 쪽으로 내부 방향을 잡고있다”고 말했다.

사측의 이같은 논의는 지난 19일 열린 첫 징계위원회에서 51명의 보도국 기자 전원이 5층 사장실에서 소명을 위해 줄을 서 있었던 데 대한 사내·외의 여론이 부담스럽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회사는 23일 징계위원회 소집 공문을 기자들과 노조(위원장 민경중)에 보내면서 “소명 의견은 회의 시작 전까지 서면으로 인사팀에 제출하고 구두로 소명을 원할 경우 소명일정을 추후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기자들은 24일 전원 구두 소명의사를 밝히는 답변서를 사측에 제출하고 추후 일정 통보를 요청했다.

노조는 사측의 선별 징계 움직임에 대해 “일심동일체 원칙에 따라 기자 전원이 공동 대응할 것”이라는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다. 민경중 노조위원장은 “주동자만 선별 징계하겠다면 앞으로 몇몇 주동자만 내세워 부분 파업을 해도 된다는 얘기냐”며 “기자들을 제대로 이끌지 못한 국·부장들이 먼저 자신을 징계 요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측의 선별 징계방침에 대해서는 회사의 자문 변호사들도 형평성 문제를 들어 난색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사측과 단체 협상을 진행 중인 언론노동조합연맹(위원장 최문순·언론노련)과 CBS 노조는 21일 열린 3차 회의에서 이번 징계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언론노련 전영일 산별추진위 집행위원장은 “교섭 기간 중 전체 조합원 51%에 해당하는 보도국 기자들을 징계하려는 것은 당장 파국으로 몰고가서 파업으로 가자는 것이냐”고 사측에 물었다. 당초 노조측은 교섭 기간 중 교섭 대상의 징계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어긋나는 점을 들어 ‘교섭 결렬선언’까지 내부 논의했으나 징계 수위와 단체 협상 진행과정을 좀 더 보고 나서 파업 논의를 구체화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민경중 노조위원장과 김준옥 사무국장은 이번 징계와는 별도로 지난 3월 24일 내려진 정직 3개월 징계에대해부당징계 및 부당 노동행위에 대한 구제신청을 서울지방노동위원회(위원장 이만호)에 23일 제출했다.
김 현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