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저널 사태가 대체인력 투입 등으로 최악의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시사저널 노사는 지난해 6월 19일 삼성기사 삭제 사건이후 4개월간 열 네 차례의 대화 테이블과 수 십 차례의 물밑협상에도 불구하고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급기야 노조는 지난달 15일 단체 협상이 결렬됐음을 선언했다. 단협안 1백15개 중 89개가 타결되지 못했다.
단협안에서는 편집국 기자들에 대한 부당 징계 철회 문제 등으로 이견을 좁히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결렬과 동시에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중재를 신청했다. 여기서도 양측의 입장 차는 극명했다. 지노위 심사에서는 노조측이 단협안에서 주장하는 ‘편집권 임명동의제’ 등을 사측이 끝내 받아들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노위는 지난달 26일 조정 기간을 한 차례 더 연장하고 재협상을 제안했지만 양측의 입장차만 확인해야 했다. 이날 노조는 조합원 총회를 열고 파업을 가결시켰다.
양측은 10일간의 재협상에서도 끝내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조정에 나섰던 지노위는 지난 3일 최종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
이에 노조는 지난 4일 조합원 총회를 열고 하루 파업을 결정, 5일 하룻동안 총파업을 했다.
노조 내부에서는 전면파업에 돌입하자는 의견도 나왔으나 전면파업보다는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며 쟁의행위를 이어가는 것이 낫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동안 사측의 협상 진행 스타일로 미루어 짐작할 때, 무기한 전면파업에 돌입할 경우 경영진이 사업장을 폐쇄를 하는 등 심한 출혈이 예상돼 비정기 쟁의행위로 가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다는 것.
문제는 협상과정에서 보인 경영진의 이해하기 어려운 행태다. 경영진은 지난달 5일과 7일, 21일 총 3차례에 걸쳐 모두 16명의 비상근 편집위원을 발령했다.
이에 대해 당시 시사저널을 사랑하는 모임(시사모)에서는 파업대비용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었다. 우려는 현실로 나타났다. 실제로 ‘시사모’주장대로 이들은 노조가 파업을 하자, 잡지를 제작해 ‘짝퉁’ 논란을 빚었다.
현재 시사저널 노조는 지난 5일 하루 파업 후 일선에 복귀, 정상근무를 하고 있다.
노조는 경영진에 면담을 요청하고 심상기 회장에게 질의서를 보내는 등 대화를 통한 해법을 찾고 있다.
이는 심회장이 이번 사태의 키를 쥐고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하지만 심회장측에서는 아직까지 답을 주지 않고 있다.
물론 당분간 노조의 전면 파업 등 극단적인 국면 돌입은 없을 전망이다.
하지만 파업이 단행된 지난 5일 노조측이 심상기 회장에 면담을 요청했으나 심 회장이 면담에 나서지 않았고 지난 8일에는 경영진이 편집국 기자 없이 잡지를 발행해 평화적 해결법의 성사 여부도 불투명한 상태다.
노조는 끝내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 게릴라성 파업을 비롯한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곽선미 기자
[email protected]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