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집값 안정을 위한 대안제시보다는 왜곡·과장보도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부동산 전문기자들은 “언론보도가 부동산 투자심리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현재의 부동산시장은 거품이 끼어 있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집값폭등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조속한 원가공개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민간아파트의 분양가를 규제하고 공동택지의 공영개발 확대와 분양가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를 강화하고 양도세를 지금과 같이 유지하거나 올리는 방안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나아가 일부 보수신문들이 대안으로 내세운 ‘강남재건축 규제완화’와 ‘세금폭탄 완화’ 등은 도리어 역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일보 서화숙 논설위원은 “언론이 일부지역의 문제를 전체의 문제인양 과장하기도 하고 부도덕한 투기꾼을 현명한 투자가인양 오도해서 양심에 따라 살던 사람들을 좌절 시킨다”며 “집을 투자의 대상이 아니라 살 곳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한겨레 최종훈 기자는 “보수신문들은 양도세와 보유세를 완화하면 매물이 쏟아질 것으로 예측하지만 도리어 사려는 사람이 많아 가격은 변동되지 않을 것”이라며 “강남의 집값을 잡으려면 강북 등지에 대체지를 개발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현재의 부동산가격에 대한 문제에 대해 부동산 전문기자들은 한마디로 “거품”이라고 진단했다. 그만큼 우려도 컸으며, 연착륙을 위해 정부뿐 아니라 언론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매일경제 설진훈 기자는 “정부가 금리나 공급정책을 적절하게 펴지 않으면 왜곡된 구조 때문에 국지적으로 집값이 더 오를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며 “머지않아 평당 1억원 시대가 올 것이라는 전문가들도 상당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한국경제에 큰 재앙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부동산 전문기자들은 올바른 부동산 보도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갖고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부동산 기사를 시세기사나 재테크차원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주거복지차원에서 다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박재현 기자는 “언론이 국민임대주택에 대한 관심제고에 나설 필요가 있다”며 “정부의 국민임대주택 정책 등을 취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 박영신기자도 “주택가격형성 체계의 허점을 감안한다면 시황이나 시세관련 보도는 정밀한 취재가 뒷받침돼야 설득력이 있다”며 “실거래가가 아닌 호가 중심의 시황보도, 부분적 움직임을 지나치게 일반화하려는 보도태도가 먼저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