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정년은 50세 이전" 70%

노후대비는 은행예금·보험(54%) 가장 많아


   
 
   
 

   
 
   
 

직업 만족도 및 이직 고려

기자들의 직업만족도는 지난해보다 다소 떨어졌고, 이직 희망은 늘었다. 기자로서 직업에 얼마나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79.4%(아주 만족 14.7%, 다소 만족 64.7%)가 만족한다고 대답했다. 불만족한다는 응답자는 19.7%(다소 불만족 16.7%, 아주 불만족 3.0%)였다.

이직 고려 경험에 대해서는 61.7%가 ‘있다’(자주 있다 8.0%, 가끔 있다 53.7%)고 대답했다. ‘없다’는 38.0%(별로 없다 22.0%, 전혀 없다 16.0%)였다. 성별로는 여성, 지역별로는 지방, 매체별로는 신문 기자의 이직 고려 비율이 높았다.

경제부 기자의 68.9%, 6~10년차 기자의 63.3%가 이직을 고려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한 것도 눈에 띈다.본보의 지난해 조사 당시에는 만족이 80.6%, 불만족이 19.4%로 나타난 바 있다.

이직 고려 여부는 지난해 조사에서 나타난 53.3%에서 8.4%나 늘었다. 이직을 한다면 어느 분야를 원하냐는 질문에는 ‘교수 및 연구직’이 3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기자 가운데 41.5%가 이같이 답해 가장 많았다.

공무원(별정직)은 11.9%로 2위에 올랐다. 공무원을 선호하는 기자는 신문사(13.0%), 1~5년차(16.1%), 평기자(14.6%)에서 높게 나타났다.

요식업 등 자영업(11.9%), 일반 기업의 홍보 관련(10.3%), 정보 통신 및 인터넷(11.8%) 등이 뒤를 이었다. 자영업을 원하는 기자는 방송(25.8%), 11년차 이상(17.8%), 차장급 이상(17.7%)일수록 많았다.

기업 홍보를 선호하는 기자는 여성(17.5%), 경제부(19.0%) 쪽이 많았다. 정치권 진출을 생각하는 기자는 1.1%에 불과했다.




과로사 위험·노후 준비

많은 기자들이 과로사를 남의 일로 여기지 않고 있다. 현재의 노동환경이나 본인의 건강을 고려할 때 과로사할 가능성에 대해 어느정도 걱정하냐고 물었더니 64.7%가 걱정한다(매우 걱정 16.7%, 다소 걱정 48.0%)고 대답했다.

걱정하지 않는다는 35.3%(별로 않는다 29.0%, 전혀 않는다 6.3%)를 기록했다. 과로사 우려는 중앙(58.6%)보다는 지방(75.2%)에서 더 컸다. 세부적으로는 지방신문(75.3%), 정치부(67.7%), 차장급 이상(73.2%)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일주일 평균 술자리는 2회(34.0%), 3회(26.7%)가 많았다. 1회는 15.7%, 한 번도 안마신다는 응답자도 10.7%에 달했다. 4회(6.7%), 5회 이상(6.2%)의 순이었다.

술을 일주일 동안 한 번도 마시지 않는 기자는 11년차 이상(15.5%), 차장급 이상(17.5%)일 수록 많았다.

기자는 45~49세까지 할 수 있는 직업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나 50세 이전이 70.3%에 달했다. 우리 사회에서 기자직이 몇 살 정도까지 할 수 있는 직업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40.3%가 45~49세라고 대답했다.

40~44세는 24.7%, 39세 이하는 5.3%로 나타나 50세 이전이 총 70.3%였다. 50세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는 29.3%였다.

국민연금을 제외한 노후대비 수단으로는 은행예금이나 보험이 54.0%로 가장 많았다. 주식투자(12.3%), 부동산(9.7%), 퇴직금(5.3%)의 순이었다. ‘준비하고 있지 않다’도 19.0%를 기록했다. 매일경제가 2005년 국민들의 노후대비 수단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일반인은 예금 및 보험(53.3%)-부동산(24.7%)-주식투자(17.3%) 순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은 부동산 보다는 주식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정수행 평가 등 각종 현안

기자들은 언론 자유 및 발전을 위해 가장 적합한 대선 주자로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를 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학규 전 지사는 18.3%의 지지를 얻어 1위에 올랐다. 손 지사의 지지층은 정치부(32.3%), 11년차 이상(25.0%), 차장급 이상(26.8%)에서 높게 나타났다.

2위는 권영길 민주노동당 원내대표로 12.0%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권 원내대표는 중앙일간지(20.0%), 5~10년차 기자들(16.5%) 사이에서 지지가 높았다.

11.0%의 지지를 받은 3위 김근태 열린우리당 대표는 노 대통령의 국정 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9.7%로 4위인 고건 전 국무총리는 지방 신문사 기자(16.5%) 사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부서별로는 사회부 기자 19.3%가 고 전 국무총리를 꼽았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7.7%를 기록해 5위였으나 경제부 기자들이 많이 지지(14.8%)했다. 차장급 이상(13.4%), 11년차 이상(11.2%)의 지지도 높은 편이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3.3%로 노회찬 민주노동당 의원(6.3%),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5.7%)보다 뒤져 최하위를 기록했다. 한편 잘모르겠다가 25.3%로 가장 높아 부동층도 적지 않았다.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국정수행 평가 지지도는 계속 떨어지고 있다. 노 대통령이 국정을 잘 수행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10.0%(아주 잘함 0.3%, 다소 잘함 9.7%)에 그쳤다. 잘못하는 편은 54.7%(다소 잘못함 35.7%, 아주 잘못함 19.0%)였다. 그저그렇다는 33.7%였다.

본보에서 조사한 기자들의 노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도는 2004년 18.4%. 2005년 16.4%에 이어 올해 10.0%를 기록, 해마다 떨어지고 있다. 잘못한다는 부정적 평가는 46.4%(2004), 51.7%(2005), 54.7%(2006)로 계속 올라가고 있다. 그저 그렇다는 지난해 29.7%에 비해 늘었다.

근무연수가 많을수록 국정 수행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1~5년차 기자는 잘하는 편이 13.3%, 잘못하는 편이 35.2%로 나타났으나 11년차 이상은 각각 8.2%, 69.8%을 기록했다.

부서별로는 정치부 기자들이 잘하는 편 6.5%, 잘못하는 편 66.1%로 특히 부정적이었다. 경제부 기자들은 잘하는 편 16.4%, 잘못하는 편 52.5%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청와대의 언론 보도 대응방식에 대해서는 81.3%(다소 부적절 54.0%, 아주 부적절 27.3%)가 부적절한 편이라고 대답했다. 적절하다는 응답자는 16.7%(아주 적절 0.7%, 다소 적절 16.0%)에 그쳤다. 최근 들어 청와대와 일부 언론 사이에 보도를 놓고 거친 말이 오고가는 가운데 나온 결과라 주목된다.

6~10년차 기자 사이에서는 적절하다가 24.1%, 부적절하다가 73.4%로 평균에 비해 긍정적인 의견이 약간 많았다.

한미 FTA가 체결된다면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자가 많았다. 부정적 영향은 68.0%(다소 부정적 42.0%, 매우 부정적 26.0%)를 기록, 긍정적 영향 23.6%(매우 긍정적 2.3%, 다소 긍정적 21.3%)보다 많았다. 부정적 의견은 지방(75.2%)과 6~10년차(72.2%)에서 높게 기록됐다. 경제부 기자들은 다른 부서에 비해 긍정(34.4%)과 부정(57.4%)의 격차가 비교적 크지 않았다.

언론 관련

KBS가 영향력, 신뢰도 면에서 강세를 나타냈다. KBS는 자기 소속사를 제외한 국내 언론사 가운데 영향력 부문에서 1위(32.0%), 신뢰도 부문(12.3%)에서 2위를 기록했다. 영향력 부문에서 조선일보는 31.7%로 아깝게 2위를 기록했다.

지난 2004년 미디어오늘의 조사에서는 KBS가 39.2%, 조선일보가 28.5%로 1, 2위를 차지한 바 있어 주목된다.

영향력 평가는 부문별로 차이를 드러내 눈길을 끌었다. 차장급 이상 기자들 사이에서는 KBS(39.2%), 조선일보(28.9%)의 격차가 벌어졌으나, 평기자들 사이에서는 조선일보(33.0%)가 KBS(28.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 방송사와 중앙 일간지 기자들의 의견도 달랐다. 중앙 방송사 기자들은 조선일보(33.3%)를 KBS(25.9%)의 영향력보다 높게 봤다. 중앙 일간지 기자들 사이에서는 KBS(37.1%)가 조선일보(29.5%)보다 높게 나왔다.

부서별로는 정치부 기자들이 조선일보(45.2%)가 KBS(24.2%)보다 영향력이 더 크다고 평가했다. 사회부 기자들 사이에서는 KBS(42.1%)와 조선일보(26.3%)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순위 안에 든 언론사를 매체별로 나누면 방송이 40.0%(MBC 8.0%), 신문·통신 37.4%(중앙 2.7%, 연합 2.3%, 동아 0.7%)를 기록했다.

신뢰도 부문에서는 한겨레가 15.0%로 1위를 기록했으나 신뢰하는 언론이 없다는 응답자도 45.0%나 됐다. 한겨레는 지방신문(19.6%)과 경제부(23.0%) 기자들 사이에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한겨레는 영향력 부문에서는 순위에 들지 못했으나 신뢰도 부문에서는 1위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12.3%로 2위에 오른 KBS는 사회부(24.6%) 기자들이 후한 점수를 줬다. MBC(5.0%)와 경향신문(5.0%)은 공동 3위였으며 조선일보(4.0%)는 영향력에 비해서는 부진한 결과를 보였다. 중앙일보(3.7%), 연합뉴스(3.3%), 동아일보(2.0%)가 뒤를 이었다.

문화관광부가 신문법 및 언론중재법에 포털을 포함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포털을 법적 언론으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우세했다. 52.4%(동의않는 편 32.7%, 전혀 동의않음 19.7%)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동의한다는 의견은 45.0%(전적 동의 11.3%, 동의하는 편 33.7%)를 기록했다. 반대하는 응답자는 지방(65.1%) 기자들 사이에서, 동의하는 기자들은 지역별로는 중앙(51.8%), 매체별로는 중앙일간지(56.2%) 쪽에 많았다.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한 신문법 시장지배적 사업자 규정에 대해서는 66.0%가 수정·보완해야 한다고 대답해 삭제해야 한다는 의견(24.0%)보다 많았다.

장우성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