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기자상 선정경위/지방지들 지역언론 역할 충실
'구제역 파동' 심사위원 만장일치 선정돼, '천체망원경' 끈질긴 추적... 특혜 의혹 밝혀
김상식 이달의 기자상 심사위원 부산일보 서울지사 경제과학부장
115회 ‘이달의 기자상’ 추천은 평균 출품건수를 뛰어넘는 30건이었다. 전국 특종 개념의 취재보도 부문에 쏠렸던 여느 때에 비해 각 부문별로 골고루 출품돼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특히 지방신문이 낸 기사들이 돋보여 심사위원들의 호평을 받았다. 사실 지방지들은 중앙지에 비해 취재 여건 등에서 크게 열악, 질적으로 다소 떨어진 작품들이 적지 않았으나 이번만큼은 오히려 중앙지를 능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국적인 관심도에는 못미치는 측면이 있으나 지역 언론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한 기사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는 데 대해 많은 심사위원들이 높이 평가했다.
4?13총선을 앞둔 3월에는 역시 선거 관련 작품들이 많았고, 전국의 축산 농민들을 떨게 했던 구제역파동 관련 기사가 눈에 띄었다.
총 10건이 출품된 취재보도 부문에서는 경기일보의 ‘수포성 질병 구제역 파동’ 1건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구제역 파동’은 심사위원들의 만장일치로 선정될 만큼 ‘딱 떨어지는 특종’이었다. 파주지역에서 젖소 2마리가 ‘괴질’로 죽었다는 제보를 받고 현장취재를 통해 수포성 질병임을 알아낸 뒤 ‘유사 구제역’의 가능성을 적시하는 등 1보로서는 거의 완벽한 기사였다.
수상후보에 오른 KBS의 ‘세균 투성이 뇌염 백신재료’는 백신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뇌염백신 재료가 되는 흰쥐들이 불결한 환경에서 사육돼 제약회사에 공급되고 있다는 사실을 고발했다. 하지만 백신사고의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문제점을 파헤치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점에서 수상작에는 미치지 못했다.
6건이 추천된 기획보도 부문에서는 1차 후보대상에 무려 5건이 올랐다. 이중 중앙일보의 ‘2천만 공룡수도권’ 시리즈와 동아일보의 ‘복마전 재건축’ 시리즈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수상작으로 뽑힌 ‘…공룡수도권’은 용인등 대단위 아파트 건립의 난개발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파헤치고 전문가들을 통한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됐다.
다만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무분별한 수도권 확장 등 보다 근본적인 정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복마전 재건축’도 최근 봇물을 이루는 서울 강남지역의 아파트 재건축 비리를 심도있게 파헤쳤다. 하지만 멀쩡한 아파트를 헐고다시지음으로써 야기되는 자원낭비나 도시환경 파괴, 교통난 등 여러 부작용에 대한 문제 제기가 없었다는 점이 지적돼 수상작으로 선정되지 못했다.
문화일보의 ‘총선 경제정책 대공방’ 시리즈는 경마식 보도에 주력하고 있는 타 매체에 비해 호평을 받았으나 여야의 주장만 나열했을 뿐 정책의 실효성 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지 못했다는 게 흠이었다.
5건이 출품된 지역취재보도 부문에서 대전CBS의 ‘시민 천문대 천체망원경 특혜입찰’에 대해 심사위원들은 발로 뛴 추적보도의 전형이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자살 부른…’은 10대 원조교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를 만든 수작(秀作)이었다. 원조교제의 최대 피해자는 10대 소녀들 자신이며, 원조교제에 대한 무차별적 단속이 이들을 보호하기는 커녕 되레 윤락녀로 낙인찍어 평생 전과자로 살아갈 수밖에 없도록 하는 구조적 문제점을 부각시켰다. 원조교제의 싹쓸이 단속을 고발한 ‘의미있는 기사’였다.
‘…천체망원경 특혜입찰’기사는 비록 구매가가 4억여 원에 불과했으나 입찰과정을 끈질기게 추척, 특혜의혹을 밝혀내고 끝내 입찰을 번복시킨 노작(勞作)이었다. 지역사회에서 지연 학연 등으로 얽혀있는 구조적 비리 연결고리를 척결하는 지역언론으로서의 역할을 다한 보도라고 여겨진다.
5건이 출품된 지역기획보도 부문에서는 제주일보의 ‘제주 유권자 아젠다’가 수상작으로 뽑혔다. 이번 총선의 지역 이슈를 유권자가 제기하고 이에 대한 후보들의 답변을 지면에 게재, 선거를 유권자 참여의 정책대결로 이끌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
전문보도 부문에서는 4건이 추천됐으나 수상작에는 들지 못했다. ‘JP 달걀세례 봉변’‘돈 주고 받는 정치현장’‘계산기 동원 내민 손’등 3건은 총선관련 보도로 공천파동과 금권선거 현장을 고발했으나 여느 때 선거 사진보도의 유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됐다.
김상식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