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기자직 만족하나 장래 불안'

기협 신문의날 여론조사, 가장 존경하는 언론인 리영희

신문기자들은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지만 신문의 미래에 대해서는 절반이 비관으로 보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문의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로는 관료적 신문사 구조와 사주의 횡포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기자협회가 제44회 신문의 날을 맞아 MBC의 신문의 날 특집 프로그램 <기자정신을 찾아서>(가제) 제작팀과 공동으로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서울에서 발행되는 일간지 국장급 이하 간부를 포함한 기자 2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서 ´매우 만족´ 17.2%, ´조금 만족´ 44.9% 등 열 명 가운데 여섯 명이 만족하고 있었다. ´매우 불만´ 6.0%, ´조금 불안´ 9.3% 등 불만은 15.3%에 그쳤다.

하지만 미래 신문의 사회적 위상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낮아질 것이다´ 48.8%, ´지금보다 높아질 것이다´ 12.1%로 비관론이 낙관론보다 네 배 더 많았다. ´지금과 별 차이가 없을 것이다´는 39.2%였다.

그래서인지 언론사 이외의 직장에 ´기회만 있으면 이직하겠다´ 15.6%, ´이직할 마음은 있지만 신중히 선택하겠다´ 59.1% 등 이직을 고려하는 기자들이 74.7%였으며, ´이직할 마음이 없다´는 답변은 24.9%에 그쳤다.

신문 기자들이 신문발전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첫손 꼽은 것은 ´관료적 신문사 구조´(28.5%)였으며, 이어 ´사주의 횡포´(26.0%), ´기자의 샐러리맨화´(16.4%), ´재교육 기회의 부재´(15.1%) 등의 순이었다. 또한 사주가 인사 이동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물음에는 ´절대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한다´46.6%,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한다´ 44.8%로 91.4%가 ´사주가 인사에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답변했다.

한국 신문의 바람직한 소유 형태에 대한 물음에는 ´사원 소유 신문´(37.8%)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비영리 공익법인´(25.7%), ´국민주 신문´(19.4%)이었다. 현재 대부분의 소유구조인 ´1인/소수 사주 지배체제´가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14.6%에 그쳤다. 또 기자들이 가장 존경하는 생존 언론인은 리영희-송건호-김중배 순으로 나타났다.
김 현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