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방송이 VHF채널 4번을 할당받고 경기남부지역 전역으로 방송권역이 확대됨에 따라 회사명을 경인방송으로 변경하는 한편 경기남부 지역의 자본참여를 통한 대규모 증자를 추진하고 있어 인천방송이 제2민방으로 회생할 것인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문화관광부와 정보통신부는 지난 11일 인천방송의 방송권역을 성남, 용인, 광주 등 경기남부 15개시군 전역으로 확대하고 주파수대도 기존 UHF채널보다 전파 세기가 큰 VHF채널로 승인하는 것을 골자로 한 방송권역 허가증을 교부했다. 그러나 VHF출력은 전파가 서울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1Kw로 제한했다. 이에 따라 방송권역 확대를 요구하며 10일 전면파업에 들어갔던 노동조합(위원장 백민섭)이 11일 정상근무에 들어가는 등 문화부의 인천방송 관악산 중계소 설치 불허로 불거진 인천방송의 방송권역 확대 논란이 일단락 됐다.
인천방송은 이같이 방송권역 확대 승인이 남에 따라 오는 9월까지 광교산 송신탑 건립을 완료하고, 수 백억 원에 이르는 대대적인 증자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인천방송은 이와 관련 22일 주주총회에서 증자를 결의할 예정이다. 인천방송은 또 방송 권역 확대로 시청가구수가 170만 가구에서 320만 가구로 크게 늘어나며, 시청자 인구수도 500만에서 1000만으로 확대됨에 따라 방송광고공사와 광고료 인상에 대한 협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인천방송의 권역확대가 당장 경영정상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인천방송의 한 관계자는 {대규모의 증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지금의 경영상태로는 대폭적인 프로그램 개편이나 질 개선, 사원들의 복지 향상 등은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인천방송은 누적적자가 630억 원으로 자본금 530억원이 완전 잠식된 상태이며, 최근 두 차례에 걸쳐 차입한 100억 원의 차입금마저 모두 바닥난 상태다.
한편 인천방송의 권역확대와 관련 SBS는 {방송위원회 출범을 앞두고 허가한 것은 총선용 아니냐}며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인천방송은 {방송위원회 출범 이후로 넘어갈 경우 결국 이 문제는 총선 이후로 미뤄질 상황이었다}며 {그러나 인천방송의 경영상태는 한계 상황에 이르러 있다}고 밝혔다.
박미영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