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보 주원인 ‘과당 경쟁’ 42%
‘방송 민영화·수신료 폐지 신중론 우세
‘보도비평-언론개혁’협회보 충실하길
노무현 정부의 언론정책 평가
노무현 정부의 언론 정책 전반에 대한 평가는 ‘그저 그렇다’(35.4%)는 유보적인 평가가 가장 많은 가운데 긍정(31.1%)과 부정(33.2%)으로 엇갈렸다. 특히 지방기자들(39.0%)이 서울기자들(25.8%)보다 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려 노무현 정부의 지역언론 지원책에 대한 지방 언론계의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언론정책이 부정적이라는 응답은 지방(26.0%)보다 서울(38.0%), 그 중에서도 중앙일간지(46.8%)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차장급 이상 간부(42.1%)가 평기자(29.6%)보다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가장 바람직한 언론정책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정부 및 민간분야에서 추진돼 온 각종 언론정책 중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기자들은 △지역신문 육성법 제정 움직임 등 지역언론 지원(36.6%)을 꼽았다. 그 다음은 △기자실 개방과 브리핑룸제 도입(20.2%) △신문공동배달제에 대한 지원(19.9%) △신문고시의 개정(16.7%)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주파티와 같은 기자와의 접촉금지(2.6%)를 꼽은 기자들은 극소수였다.
그러나 이같은 답변은 서울기자들과 지방기자들 사이에 커다란 편차를 보였다. 특히 가장 바람직한 정책으로 ‘지역언론 지원’을 꼽은 응답은 지방기자들의 경우 73.3%인데 반해 서울기자들의 경우 13.8%에 불과했다. 서울 기자들은 ‘신문공배제 지원’(28.1%)을 가장 바람직한 정책으로 꼽았다. 한편 ‘기자실 개방’이라는 응답은 서울(26.4%)이 지방(11.0%)보다, 방송(28.0%)이 신문(18.4%)보다 각각 높았으며, ‘신문고시의 개정’이라는 응답은 방송(29.5%)이 신문(13.8%)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부와 언론의 관계
노무현 정부가 출범 이후 언론과의 유착을 끊고 건강한 긴장관계를 조성하겠다는 점을 강조한 것과 관련, 현재 정부와 언론의 관계를 묻는 질문에는 기자들 대부분이(80.8%) ‘불필요하고 감정적인 긴장관계로 변화했다’고 답변했다. 반면 ‘건강한 긴장관계로 변화했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특히 ‘불필요하고 감정적’이라는 응답은 중앙일간지(91.8%)와 정치부(86.4%), 체육부(86.4%), 근무년수 11년 이상(87.0%)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부 언론의 감정적 보도
정부에 대한 일부 언론의보도태도가 지나치게 감정적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상당수 기자들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을 포함해 현 정부의 고위 관계자들은 노무현 정부에 대한 일부 언론의 보도가 지나치게 감정적이라는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데, 이같은 지적에 동의하느냐는 질문과 관련 ‘동의한다’(70.4%)는 응답이 ‘동의하지 않는다’(29.3%) 보다 높았다. 특히 현재 정부와 언론의 관계가 감정적으로 변화했다고 응답한 기자들(N=243)의 69.1%가 이같은 주장에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현 정부의 중점 과제
노무현 정부에서 앞으로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언론정책으로는 △지역신문 육성법 제정 등 지역언론 지원(28.0%)과 △신문판매 시장 정상화와 공배제 지원(25.7%)이 차례로 꼽혔다. 그 다음은 △소유지분 제한 등 정간법 개정(16.7%) △지상파 디지털방송 방식 재검토(9.5%) △방송통신위원회 설립(9.3%) △언론사 세무조사 정례화(7.8%)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같은 답변 역시 서울과 지방, 신문과 방송 등 특성에 따라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중점 과제로 ‘지역언론 지원’을 꼽은 응답의 경우 서울기자들은 3.4%인데 반해 지방기자들은 64.4%로 나타나 이에 대한 지방 기자들의 기대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추진되어온 언론정책에 대한 평가에서 지방기자들이 ‘지역언론 지원’을 꼽은 것과도 일맥상통하고 있다.
‘신문시장 정상화와 공배제 지원’이라는 응답 또한 서울기자들의 경우 37.7%로 가장 높은 점수를 준 데 반해 지방기자들의 경우 8.0%에 불과했다. 매체별로도 방송과 신문의 편차가 컸는데, 신문이 ‘지역언론 지원’(33.1%)을 향후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과제로 꼽은 반면, 방송은 ‘지상파 디지털방송 재검토’(31.4%)를 꼽았다.
언론사 오보 발생 원인
‘언론사 오보 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을 묻는 질문에 기자들은 △언론사의 과당 취재 경쟁(41.8%)과 △언론사의 무책임한 한건주의 보도관행(34.3%) 등 언론사의 구조적 환경 요인을 주로 들었다. 한편 △데스크의 무리한 취재지시(8.7%) △기자의 지나친 특종의식(6.4%) △취재원의 잘못된 정보 제공(5.5%)은 10% 미만으로 소수였다.
특성별로 살펴보면 ‘언론사의 과당 취재 경쟁’ 때문이라는 응답은 방송(53.8%)이 신문(39.1%)보다 높았으며 스포츠신문(64.0%),경제부(52.0%),국제부(50.5%)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언론사의 무책임한 한건주의 보도관행’ 때문이라는 응답은 경제신문(55.0%), 편집부(43.9%) 정치부(43.6%)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KBS 2TV·MBC 민영화
KBS 2TV와 MBC를 민영화하고 KBS 수신료를 폐지해야 한다는 한나라당의 주장과 관련해서는 신중론이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부정적인 견해를 보인 기자들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기자들보다 많았다.
기자들은 일부 정치권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46.4%가 ‘취지와 방향은 옳지만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신중론을 폈다. 또 ‘내년 총선을 의식한 정치적 발상이며 내용에도 문제가 많다’(30.5%)는 부정적인 응답이 ‘즉각 관련법을 제·개정해 민영화 및 KBS 수신료 폐지를 실시해야 한다’(19.5%)는 긍정적인 응답보다 많았다.
특히 부정적인 응답의 경우 방송(48.9%)이 신문(26.4%) 보다, 그중에서도 중앙방송(53.1%)에서 높게 나타나 이런 주장이 이해 당사자인 방송기자들로부터 동의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즉각 관련법을 제·개정해 민영화 및 KBS 수신료 폐지를 실시해야 한다는 응답은 스포츠신문(28.0%) 문화부(29.1%), 정치부(26.2%), 근무년수가 많을수록(11년 이상 27.3%, 6∼10년 18.4%, 1∼5년 13.3%) 상대적으로 높았다.
신문·방송 겸영 허용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허용해야 한다는 정치권과 언론계 일부의 주장과 관련해서는 ‘일부 거대자본 언론사에만 유리한 정책으로 문제가 있다’(48.1%)와 ‘절대 허용해서는 안된다’(13.6%)는 부정적인 견해가 다수(61.7%)를 차지했다. 반면 ‘필요성이 인정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33.5%였으며, ‘즉각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은 4.1%로 극소수에 불과했다.
‘지방신문발전 지원법’ 찬반
‘지역언론 개혁연대’가 공동으로 마련해 국회에 입법 청원한 ‘지방신문발전지원법’에 대해서는 기자들 대부분이 찬성(74.3%)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반대는 16.6%에 불과했다. 한편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9.1%로 나타나 다른 언론계 현안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성별로는 ‘찬성’이라는 응답의 경우 지방(89.5%)이 서울(64.4%) 보다, 신문(79.5%)이 방송(51.4%)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터넷 매체 성장과 파급 정도
인터넷매체의 성장이기존 신문·방송 매체의 영향력 변화에 미치는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 기자들 상당수가 ‘인터넷이 기존 매체의 영향력을 위축시킬 정도로 성장했다’(63.2%)고 보았다. 이같은 답변은 특히 경제신문(80.0%)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34.8%,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0%였다.
기자협회 중점 과제
창립 39주년을 맞은 기자협회가 향후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할 분야를 묻는 질문(복수응답)에 기자들은 △회원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 연수 확대(66.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같은 응답은 근무년수가 적을수록(1∼5년 71.8%, 6∼10년 66.1%, 11년 이상 61.4%)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은 △언론개혁을 위한 유관단체와의 각종 연대활동(36.3%) △회원 권익·복지 증대(36.3%) △시대변화에 걸맞는 기자윤리 강화(30.6%) △지역언론 발전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 마련(24.0%) 순으로 나타났다. △회원간 친목 및 유대 강화 분야(9.3%)는 가장 낮게 나왔다.
협회보 분야별 만족도
<기자협회보>에 대한 분야별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는 전반적으로 보통이라는 응답이 50% 내외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언론보도 비평(만족 33.2%, 불만족 16.3%) △기협 자체 행사 소식 및 정보(만족 29.1%, 불만족 19.5%) △언론 개혁(만족 28.5%, 불만족 17.2%) 순으로 만족정도가 높은 반면 △기자윤리 감시(만족 24.2%, 불만족 26.6%) △회원 정보(만족 20.7%, 불만족 33.6%) 분야는 불만족이 더 높았다.
이 중 ‘언론보도 비평 분야에 대한 만족도’(지방 42.5%, 서울 26.9%)와 ‘언론개혁 분야에 대한 만족도’(지방 38.4%, 서울 21.8%)는 지방이 서울보다 높았고, ‘기협 자체 행사 소식 및 정보 분야에 대한 만족도’(여자 43.0%, 남자 26.1%)와 ‘회원 회원사 관련 정보 제공 분야에 대한 만족도’(여자 30.8%, 남자 18.6%)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다. ‘기자윤리 감시 분야에 대한 만족도’는 스포츠신문(36.0%)과 경제부(32.7%)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협회보가 다뤘으면 하는 내용
<기자협회보>에서 가장 충실하게 다루길 희망하는 내용을 묻는 질문(복수 응답)에는 △언론보도 비판(48.6%)과 △언론개혁 관련 이슈(43.8%)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다음은 △기자 윤리 및 언론 비리 감시(33.8%) △건강 문화 복지 등 회원들에게 도움이 되는정보(29.4%) △외국선진 언론 관련 정보(21.1%) △각 언론사 지회와 회원들 소식(17.2%) △기자협회 자체 행사 정보(41.%)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언론보도 비판’이라는 응답은 경제신문(60.0%), 정치부(70.4%), 편집부(55.4%), 근무년수 11년 이상(54.0%)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언론개혁 관련 이슈’라는 응답은 편집부(49.7%), 국제부(49.2%)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박미영 기자
[email protected]
박미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