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 지방대로 고충 있다'

광주·전남기협 주최 총선보도포럼 열려

"설혹 경마식 보도를 하고 싶다고 해도 할 수 없는 상황 아닌가." "이 지역에서 현장점검 보도가 왜 필요하나."

지방에서도 선거보도를 바로 잡기 위한 고민이 한창이다. 9일 지방 기자협회로는 처음으로 광주@전남협회(협회장 임영호 광주CBS 정치행정팀장)가 주최한 ´광주@전남 언론포럼´에서는 3시간 여간 지역특성에 기반한 총선보도의 고충과 비판이 오갔다.



먼저 김덕모 호남대 신방과 교수는 "여전히 ´민주당 공천=당선´이라는 구도가 온존하는 이 지역에서 판세 보도가 왜 필요한가" 반문하며 "구체적인 정책진단 등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선 전남대 언론홍보연구소 연구원은 이정일 전 회장 출마에 따른 전남일보 보도를 비롯해 데스크나 사주 등의 이해관계에 얽힌 편향보도 사례를 제시했다.



한 연구원이 제시한 사례는

▷모 신문은 공천이 불확실했던 한 인사를 일찌감치 확정됐다고 보도했는데 해당 기자와 사장이 그 인사와 절친한 사이로 알려졌다

▷이 지역 언론계에 ´장학생´이 있을 정도라는 한 무소속 출마자 진영에서 배포한 자료를 실제로 많은 신문들이 인용해 ´무소속 20% 이상 약진´이라고 보도했다는 것 등이다.

이강세 광주MBC 기자는 "정치적 선택권을 박탈당한 상황에서" 취재보도의 고충을 토로했다.

이 기자는 "후보자가 많지도 않으니 경마식 보도를 하려 해도 할 수 없는 게 여기 상황"이라며 "´민주당 공천=당선´ 등식이 여전한 가운데 언론이 취해야 할 공정성, 균형은 과연 어떤 것인지 고민스럽다"고 말했다.



이같은 문제점에 대해 참석자들은

▷양적 균형에서 벗어난 후보자 자질검증 등의 가치 중심적 보도

▷시민단체와 연대한 모니터실명제

▷유권자를 중심에 둔 공공저널리즘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김덕모 교수는 "지역언론과 유권자들을 중심으로 가칭 ´선거보도위원회´를 구성해 유권자들의 관심사나 현안을 수렴하고, 이에 대한 후보자들의 답변을 보도하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한편 광주@전남협회는 이같은 의견을 수렴, 시민언론단체와 연계해 보다 체계화된 모니터를 거쳐 ´최악의 보도´ 등을 선정하면 이를 광주.전남협회보에 게재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김상철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