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봉합은 했지만…
소송·내분 등 부작용만 남긴채
손쉬운 자본으로 문제해결 '비판'
지난 3월 MBC 최문순 사장 취임 이후 첫 번째 지방사 개혁 작업으로 추진했던 지방사 사장 교체 작업에 제동을 걸었던 강릉MBC사태가 본사의 강릉MBC 주식 전액 인수로 가닥이 잡혀가는 분위기다.
MBC최대 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이하 방문진)와 본사가 강릉MBC 2대 주주인 최돈웅 씨의 주식을 전액 매입하기로 결정하면서 오는 22일로 예정된 강릉MBC 임시주총에서의 현 김영일 사장의 해임안건 통과가 유력시돼 이번 사태가 종지부를 찍을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릉MBC 사태는 앞으로 MBC가 지방사 광역화 등 지방사 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도출될 수 있는 갖가지 부작용과 문제점을 상당부분 노출시켰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특히 MBC는 강릉MBC 사태를 4개월여 동안 끌어오는 과정에서 개혁이라는 설득력 있는 논리로 이번 사태를 해결했다기보다는 해당사간 소송과 구성원들간 갈등표출이라는 아픔을 남겼다. 게다가 결국 최종해결책은 주식 전액매입이라는 가장 손쉬운 방법을 택했다는 점에서 논란은 더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이번 주식전액 인수 조치가 임금삭감과 명예퇴직 실시 등 '고통분담'을 요구해온 MBC의 긴축정책에 반한다는 내부 비판을 감수해야할 처지에 놓였다.
현행 방송법상 지상파 방송사의 소유지분은 1인이 30%를 초과할 수 없게 돼 있다. 따라서 MBC측은 강릉MBC로부터 자사주형식으로 주식을 매입한 뒤 이를 다시 감자 후 소각하는 방식으로 본사 흡수를 추진할 것으로 보여 주식 매입방식 또한 논란이 일 전망이다. 또 강릉MBC 사태로 다소 주춤했던 지방사 광역화 문제가 다시 전면에 부각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 또한 이번 사태가 가져온 결과물 중 하나이다.
최 사장은 지난달 “자신의 개혁작업을 일단 중단하고 내부 정리 작업에 몰두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첫 지방사 개혁 작업이었던 사장교체가 강릉MBC로 인해 상당기간 지체된 감이 있어 최 사장은 지방사 개혁 및 광역화의 필요성을 절감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 사장은 지방사 광역화 문제를 올 하반기 첫 개혁 작업으로 들고 나올 가능성도 커졌다.
하지만 ‘자본력’을 앞세운 지방MBC 광역화 작업에 대한 지방사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흘러나오고 있다.
또 강릉MBC 사태가 지속되는 동안 내분 상태가 지속돼온 구성원간 갈등문제 해결이 강릉MBC 정상화 여부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사태 와중 본사의 일방적인 태도에 반발, 노조까지 탈퇴했던 '정상화를 바라는 모임' 구성원들과 김영일 사장편에 섰던 임원진, 이와 반대로 김 사장으로부터 인사위원회 징계까지 당했던 노조 조합원들의 원상복귀여부가 강릉MBC 사태의 또 다른 관심사로 등장했다.
이와 관련 MBC 기획실 관계자는 말을 아끼는 표정이 역력하다. 특히 강릉MBC 구성원들간 징계문제는 강릉 현지 상황이 모두 파악된 이후 새경영진에 의해 처리토록 한다는 게 MBC 본사의 기본적인 입장이어서 어떤 식으로 강릉MBC 사태가 마무리될 지를 쉽게 짐작할 수 없게 만든다.
MBC 관계자는 "강릉MBC 사태와 지방사 광역화 정책은 별개 사안"이라며 "강릉MBC 사태가 문제없이 해결될 수 있도록 새 경영진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강릉MBC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사태 해결방법으로 미뤄볼 때 MBC 본사의 지방사 광역화 정책은 돈으로 주식을 사고 팔았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지상파 DMB 방송권역 조정 등을 이유로 빠른 방식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지방사의 분위기를 제대로 읽지 못한 상태에서의 강제적인 지방사 광역화는 강릉MBC 이상의 반발을 초래할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우려의 시각을 나타냈다.
이종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