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9일 18시 58분
지역신문법 상시법 통과됐지만 갈 길 멀다
지역신문발전지원 특별법(지역신문법)이 상시법으로 전환됐다. 지난 9일 국회를 통과한 개정안에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 재직 경력 요건을 15년에서 10년으로 완화하고 지역신문발전기금 부정…
차별금지법, 언론이 공론장 마련해야
차별금지법은 2007년 정부 입법으로 처음 발의된 후 발의됐다가 폐기되기를 15년째 반복하고 있다. 의원 발의가 7차례나 이뤄졌고, 현재도 4개 법안이 계류 중이다.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는 이 법안을…
'가짜 보도자료', 유튜브 받아쓰는 언론
최근 언론계에 두 건의 낯 뜨거운 오보 사태가 있었다. 지난달 22일 한 코스닥 기업의 주가를 요동치게 했던 가짜 보도자료 사태가 첫 번째다. 반도체 소재기업 램테크놀러지는 세계 최초로 초고순도 불…
불편한 현안 회피한 '국민과의 대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공개홀에서 국민과의 대화-일상으로에 출연했다. KBS는 국민과의 대화를 주말 황금시간대에 편성해 KBS1 채널을 통해 생방송했다. 대통령이 2년…
연합뉴스 포털 퇴출, 무겁게 받아들여야
대마불사, 더 이상 안 통한다. 연합뉴스가 18일부터 1년 동안 네이버와 다음 포털 뉴스서비스에서 사라진다.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지난 12일 연합뉴스 재평가 심사에서 뉴스제휴 지위를 박탈하…
서울신문은 사주의 것이 아니다
서울신문이 지난달 27일 주최한 2021 서울미래컨퍼런스는 서울신문 대주주가 누구로 바뀌었는지 보여줬다. 김상열 호반건설 회장은 이날 서울미디어홀딩스 회장 직함으로 김부겸 국무총리 등 내외빈…
위드 코로나 시대, 언론은 달라져야 한다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작됐다. 상상만 해왔던 위드 코로나 시대다. 누군가는 다시 돌아간다고 표현한다. 하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사태가 시작된 뒤 언론사에 입사한 기자들은 물론, 코로나라는…
SBS '무단협' 사태, 회사가 결자해지해야
SBS의 무단협 사태가 3주째에 접어들고 있다. 언론사의 무단협 사태는 방송사는 물론 언론계 전체에서도 흔하지 않은 사례다. 무단협 사태가 해소되지 않으면 단협이 보장하고 있는 전임자 타임오프,…
'1조원 정부광고' 투명성 장치 마련하라
중앙정부와 지자체, 공기업 등은 정책 홍보나 캠페인을 목적으로 신문과 방송, 인터넷 등 언론매체에 광고를 낸다. 이런 목적으로 쓰인 정부광고비는 지난해 1조890억원에 달한다. 정부광고는 재원이…
공영방송 KBS의 새로운 미래에 요구한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에 두 언론인이 이름을 올렸다. 독재 정권에 맞서 표현의 자유를 수호했다는 게 선정 이유다. 언론인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86년 만이다. 그런데 두 언론인 모두 공영방송과는 거리가…
언론특위, 포괄적 언론개혁의 마중물 돼야
지난달 29일 여야가 언론중재법 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상정을 보류하고 국회에 언론미디어 특별위원회(언론특위)를 구성한 뒤 연말까지 추가논의를 하기로 합의했다. 지난 8월 더불어민주당이 고의중…
누더기 언론중재법, 폐기가 답이다
여야가 언론중재법 단일안 마련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며 국회 본회의 통과를 미루며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다행스럽지만 수차례 수정을 거치며 언론중재법 개정안은 누더기가 됐다. 애초 언론자유…
'포털 노출 중단' 연합뉴스, 공적책무 되새겨야
지난 8일부터 연합뉴스 기사가 네이버다음 포털 뉴스에서 사라졌다. 돈을 받고 쓴 기사형 광고를 마치 실제 뉴스처럼 포장해 수년 간 포털에 송출했던 사실이 밝혀지며 32일 포털 노출 중단이라는 중징…
혐오 장사가 언론을 위협할 수는 없다
온라인에서 혐오표현이 만연한 원인으로 국민 10명 중 8명이 언론의 보도 태도를 지목했다.(국가인권위원회 인식조사, 2021년) 특히 최근 몇 년 새 심각해진 성별에 대한 혐오표현은 언론이 적극적으…
대한민국의 언론 시계는 거꾸로 간다
언론의 잘못된 보도나 마음에 들지 않는 논조조차도 그것이 토론되는 과정에서 옳은 방향으로 흘러가게끔 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야당 정치인이었던 2014년, 서울외신기자클럽(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