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사 주5일 '산 넘어 산'

부산일보·매일신문 산별전환 협상 중
나머지 엄두 못내 "상대적 박탈감 커"

광주.전남 4개사 시행, 근본 취지 멀어




다음달부터 ‘주5일 근무제’가 3백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지방 신문사별로 제도 시행을 앞두고 고민 중이다. 특히 이미 제도를 시행하거나 시행을 앞둔 신문사들은 인력부족 및 인건비 상승 등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벌써부터 ‘산 넘어 산’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기자협회 소속 지방 신문사 34개 회원사 중 사업장 규모와 무관하게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는 곳은 광남일보(2004) 광주매일(2005) 남도일보(1998) 전남매일(2003)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신문사는 제도의 본래 취지인 복지차원보다는 인건비나 제작비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실시하고 있다. 때문에 남도일보를 제외한 3개사는 주5회 신문을 발행하고 있으며 주5일에 따른 휴일수당 등 구체적인 단체협약 없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주요 취재원이자 독자층인 정부 및 공공기관이 격주로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하면서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시행하고 있는 언론사도 있다.



경기신문 등 일부 신문사는 지난해 정부 부처가 월 2회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면서 둘째, 네째 주에는 주5일 근무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주요 출입처이면서 주된 독자층인 정부 부처가 쉬는 마당에 발행한다는 자체가 큰 의미 없기 때문에 이처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지방 신문사들은 타사의 ‘눈치’를 살피며 제도 시행의 시기와 방법 등을 조율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3백인 이상 사업장인 매일신문과 부산일보 등 2개 사는 당장 다음달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이들 노사는 제도 시행에 앞서 단체협상을 통해 △근로시간 △유급휴일 △법정휴가 등 ‘주5일 근무제 관련 단체협약 개정’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사업장과 달리 신문사라는 특수성 때문에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기 위한 제반 여건이 결코 녹록치 않은 상태다. 주5일을 근무하더라도 신문을 주6회 발행해야 하기 때문에 유급휴일 지정에서부터 휴일수당까지 여러 문제가 얽혀있다.



또한 제도 취지를 최대한 살리기 위한 인력운영과 최소 인력을 운영하기 위한 지면제작 등 여러 고민으로 분주한 모습이다.



이 때문에 이들 노조는 올해 단체협약에 있어 산별협상으로 전환한다는 전국언론 방침 아래 공동으로 보조를 맞추고 있다. 노조는 쟁점이 되고 있는 근무시간을 주40시간을 기준으로 하되 주5일 근무를 명문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인력운영 방침을 세우기 위해 노사가 공동으로 각 부서별 최소 인력을 점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면개편도 불가피해 보인다. 최소 인력으로 주말 판을 제작하기 위해 사전 제작이 필수적이며 사건.사고 기사보다는 레저 여행 등 문화 관련 콘텐츠를 강화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를 위해 이들 신문사는 문화일보 주말 판과 같이 토요일 오전 4~5면만 당일 제작하고 나머지 지면은 사전에 제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제도 시행에 앞서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세종대 허행량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주5일 근무제가 도입되면서 대형 언론사와 소형 언론사 에 미치는 충격은 다를 것”이라며 “복지차원 뿐만 아니라 광고, 매출, 제작 등 여러 부문에 영향을 미쳐 언론사간 ‘빈익빈 부익부’현상이 심화되면서 상대적인 박탈감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