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주장]'올드미디어' 신문 살리기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에 따른 신문·방송·인터넷·통신의 통합 추세로 대표적인 `올드미디어’인 신문이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 신문 구독자가 전 국민의 50% 이하로 떨어진지 오래됐고 신문광고시장은 각종 뉴미디어의 공세로 크게 위축되고 있다. 여기에 외국자본까지 참여한 무료지들이 국내 신문업의 진입장벽이 없는 점을 이용, 적극 가세하면서 기존 신문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포츠지 등 많은 중소 신문사들의 경영이 휘청거리고 있다. 대형신문들도 모두 감면에 나섰을 정도다.



다른 한편에서는 문화부와 방송위원회, 정보통신부를 주축으로 신문시장의 입지를 더욱 축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위성DMB, 지상파 DMB 등 뉴미디어에 대한 허가 논의가 착착 진행되고 있다. 특정 재벌의 미디어 진출을 위해 방송법까지 바꿨다는 비판까지 나온다. 신기술 도입이 숙명이라 할지라도 사전에 내수산업인 미디어시장의 여파를 따져보지 않는다면 부작용만 커진다. 이같은 미디어 정책의 혼선으로 이미 미디어기업이 따로 없는 세상이 됐다. 대기업은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미디어에 손을 대는데 신문사들은 `먹고살기 힘들어’ 대기업이 누려온 다른 산업을 기웃거리는 촌극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는 먼저 입법권과 감독권을 지닌 정부와 국회에게 바란다. 언론개혁을 추진하면서 신문·방송, 그리고 차세대 뉴미디어를 아우를 공정하고 미래지향적인 미디어산업정책을 내놓기를 당부한다. 특히 기형적인 신문시장을 바로잡을 분명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그간 회원사간 대립으로 어떤 결론도 내리지못한 한국신문협회를 믿을 때가 아니다. 유력신문들의 자기방어 논리인 `업계 자율개혁’ 주장에 현혹당할 때도 아니다.



신문을 살리는 길은 먼저 경품 등 불공정 행위를 근절하여 자본주의의 근간인 시장질서를 확립하는 것이다. 이어 프랑스처럼 여러가지 색깔로 분화된 신문들이 공존하여 여론의 다양성과 균형성이 보장되도록 시장점유율 제한과 유통구조 현대화 등 견제와 지원책을 동시에 이끌어 내야 한다. 이같은 정책이 필요한 이유는 신문이 다른 상품과 달리 다양한 정치적 견해를 담아내는 민주주의의 필수 요소이기 때문이다. 역대 선거결과를 보듯 국민의 50%를 미처 대변치 못하고 있는 특정신문이 신문시장의 75%나 과점하고 있는 현실은 불공정 게임의 위력과 과점의 위험성을 동시에 입증해주는 지표라는 주장도 있다.



위기를 자초한 신문업계도 진실한 `반성 행보’에 나서야 한다. 먼저 강자인 조·중·동은 언론개혁 국면에서 수세적으로 일관할 게 아니라 엄연한 강자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해야 한다. 양보할 일에 대해서만 약자인 체 하는 것은 옹색하기 그지없다. 신문유통 시장과 보도관행에 있어서 왜곡과 편파를 스스로 극복하고 건전성을 회복해야만 주장과 생존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독립언론을 비롯한 다른 중소신문들도 생존의 돌파구를 찾는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보다 올곧은 보도자세를 견지하는데 혼신을 다해야 한다. 내부의 불협화음으로 논조가 흐트러지고 권력에 대한 감시가 미온적이라면 어떤 핑계로도 용납될 수 없다. 강도높은 경영혁신 추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우리의 주장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