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켜며]무료신문과 언론개혁

최근 문화일보의 관심사는 단연 무료신문이다. 뉴미디어부는 17일 창간을 목표로 ‘am7’의 시험판 제작에 들어갔다. 일부에선 ‘뉴엘리트부’란 우스개 소리를 붙일 정도로 회사 차원에서 팀 구성부터 신경을 많이 썼다고 한다. 만나는 사람들도 무료신문에 대한 외부 반응을 곧잘 물어본다.

창간 계획이 정해진 이후 문화일보 지면에도 무료신문과 관련한 뉴스가 간간이 등장한다. 지난달 14일자 1면에는 ‘미 대도시 무료일간지 돌풍’이란 기사가 실렸고, 29일자 오피니언면엔 “무료신문의 등장은 특징있는 시장을 형성한다는 의미에서 긍정적”이란 외고가 실렸다. 보기에 따라선 무료신문 창간을 앞둔 의도적 편집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무료신문에 관한 현상을 전달했다는 면에서 수긍도 간다.

그런데 지난 1일자 ‘데스크칼럼-지하철에서 부는 바람’은 고개를 갸우뚱하게 했다. 칼럼은 무가지 등장에 대해 “국민과 독자에 의한 언론개혁과 관련, 매일 아침 지하철안에서는 의미있는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해석했다. 요컨대 “‘조?중?동 독과점 체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보수 일변도 언론이 국민 여론 형성을 주도하고 있다는 것(…)종합지의 몰락은 정치뉴스의 파당성 때문”이라며, 국민들이 지하철 신문을 찾는 것은 언론개혁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과연 그럴까. “파당성이 없다”는 이유로 기존 독자들에게 무료신문이 대체지가 됐을까. 이보다는 신문을 외면하던 젊은 세대를 유인하는 측면이 커 보인다. 또 무료신문의 특성상 100% 광고수입에 의존하고, 무엇보다 짧은 시간동안 독자들에게 재밌게 읽히는 기사를 만들어야 한다. 기존 신문에 비해 다양한 여론 전달, 사회 감시 기능 등 언론 고유의 기능을 최고 가치로 두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당장 광고주의 입김이 작용할 틈새가 상대적으로 크다.

적자 신문기업이 무료신문 시장에 뛰어드는 것은 살기 위한 전략이란 측면에서 이해된다. 침체되는 신문업계의 세계적 흐름이기도 하다. 문화일보의 시도가 목표대로 수익창출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 아울러 현실적 한계를 뛰어넘어 스스로 얘기한 언론개혁을 위한 매체가 되기 위한 고민도 놓치지 않았으면 좋겠다.

박주선 기자 [email protected]
박주선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