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켜며]'이달의 기자상' 유감

국내 유일이라는 권위를 가지고 있는 ‘이달의 기자상’은 전현직 언론인, 학계, 법조계 등 사회 각계의 심사위원들이 모여 출품작들에 대한 입체적인 심사 끝에 결정된다. 많은 매체의 데스크나 기자들의 피땀이 배어있는 수작들이 출품되는 만큼 쉽지 않은 작업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그러나 지난 18일 기획보도부분 심사에 중앙일보가 출품한 ‘지금은 노조시대 시리즈’가 선정된 소식을 듣고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기자는 심사위원의 권위에 도전하고 싶은 마음이 추호도 없다. 아울러 오랜 시간을 준비하고 공을 들여 수상의 영예를 안은 중앙의 다섯 기자들의 노력과 열정을 폄하하고 싶지도 않다. 그러나 중앙의 ‘노조시대’ 시리즈에 대해 심사위원들이 과연 입체적인 분석을 했는지 의문이다. 해당 시리즈가 친기업적인 시각을 보였는지 친노동자적인 시각이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또한 친기업적인 기사라고 하여 무작정 비판의 잣대를 들이대고 싶지도 않다.

문제는 ‘팩트’ 자체에 대한 논란이다. 이 시리즈는 연재가 시작된 후 노동계의 반발에 부딪히다가 결국 언론중재위에 제소되기까지 했다. 중재위의 결정에 따라 지난달 29일 중앙에 실린 반론보도문을 보자. 중앙은 지난달 2일 ‘투쟁이냐 교섭이냐’ 제하의 기사에서 박방주 두산지회장과의 대화를 인용해 “‘평화선언이라도 하고 회사 살리기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묻자 ‘하고 싶어도 상급단체에서 징계한다고 해 현재로선 할 수 없다’고 했다”고 보도했으나 반론보도문을 보면 박 지회장은 “질문도 대답도 없었다”고 펄쩍 뛰었다. 또 반론보도문에서 금속노조는 “일선 조합원이 중앙교섭에 대해 별 관심이 없다고 보도했으나 지난 4월 30일 대의원대회에서 전 대의원의 79%라는 압도적인 찬성으로 중앙교섭을 통과했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반론보도문에는 중앙의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는 노조의 다섯가지 사례가 더 적시돼 있다. 이 정도면 보도와 반론을 떠나 팩트 자체에 엄청난 차이가 있는 것이다. 중앙은 노조시리즈를 통해 “전환기에 노동조합이 어떤 변화를 꾀해야 하는지에 대해 한편으로는 경종을 울기고 한편으로는 정책 변화의 전환점을 제공했다”고 자평했다. 과연 심사위원단도 그렇게 평가했는가. 언론개혁 신문개혁을 외치며 빗속 거리에 서있는 언론노동자들에게 심사위원단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전관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