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량증가로 신문사마다 특집면 발행
기사형 광고 게재 등 부작용 지적도
최근 불어닥친 경기불황의 여파에 신문사들도 영향을 받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광고가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부동산 광고는 그동안 신문사 살림에 적잖은 도움을 줘왔지만 요즘처럼 물량이 쏟아지는 것은 이례적이다. 이에 따라 각 신문사별로 특집면, 맞춤면을 발행하는 횟수도 늘고 있다.
매일경제는 최근 명동 명품브랜드홀 ‘하이티파니’의 광고를 수주, 자회사 매경INFOAD에서 4매짜리 특집PR면을 제작했다. 이 특집면은 전 지면에 ‘하이티파니’의 전면 내지 하단통 광고를 싣고 명동상권의 기원과 변천, 상가투자 가이드 등의 기사를 배치해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매경은 또 이 특집PR면을 자사 신문이 아닌 동아 조선 중앙 등 종합 일간지에 전단지 형태로 삽지하는 판매전략으로 눈길을 끌기도 했다. 한겨레와 경향도 지난달 별도의 부동산 특집면을 제작해 건설회사의 광고를 적극 공략했다.
최근 다른 일간지의 경우도 맨뒷면이나 경제면에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등 분양 광고가 거의 매일 실리고 있으며 관련기사로 뒷받침하는 경향도 뚜렷해지고 있다.
이같은 추세는 지난 4월초부터 그동안 승인이 보류되거나 밀려있던 부동산에 대해 허가가 떨어졌기 때문이며 적어도 오는 6월까지는 ‘부동산 특수’가 계속될 것이라는 게 광고계의 전망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신문사 광고국 직원은 “규모가 큰 신문사의 경우 부동산 광고가 전체 광고의 30% 비중을 차지할 정도”라면서 “신문사 광고사정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부동산 광고가 효자노릇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부동산 광고에 원칙이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다른 신문사 광고국 직원은 “부동산 광고는 높은 단가 대신 ‘길어야 일주일’이라는 속설이 있을 정도로 단시일내에 효과를 봐야 한다”면서 “그러다보니 신문사는 기사형 광고 등의 ‘옵션’으로 지면을 지나치게 할애하고 광고주는 이를 시장에서 전단지로 사용하는 등의 부작용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전관석 기자
[email protected]
전관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