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인권보도상 대상에는 동아일보 조은아 김예윤 김재명 기자의 ‘그림자 아이들’ 시리즈및 후속보도가 선정됐다.
본상에는 CBS 김명지 송영훈 기자의 ‘성심병원 간호사 선정적 장기자랑 등 인권침해 실태 연속보도’, 제주CBS 김대휘 문준영 기자의 ‘70년만의 재심, 끝나지 않은 제주 4·3 수형인 기획보도’, 프레시안 전홍기혜 기자의 ‘심층취재-한국 해외입양 65년’, 한겨레신문 고한솔 김미향 허호준 이지혜 신지민 기자의 ‘18살 고교실습생은 왜 죽음으로 내몰렸나’, 한국일보 정민승 기자의 ‘비극의 로힝야족 난민캠프 최초 르포’가 선정됐다.
기자협회와 인권위는 2011년 9월 공동 제정한 ‘인권보도준칙’의 정착과 확산을 위해 2012년부터 매년 우리 사회의 인권증진과 향상에 기여한 보도를 선정, 인권보도상을 수여하고 있다.
제7회 인권보도상은 지난 한 해 동안의 보도를 대상으로 언론계, 학계, 시민사회 등 7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최종 선정했다.
황대일 심사위원장(연합뉴스 콘텐츠총괄본부장)은 심사평에서 “이번 출품작의 특징은 그동안 아동, 장애인, 성 소수자, 여성, 이주민 등 국내 약자들에게 집중된 감시 범위가 크게 확대되고 연속 보도가 많아진 것”이라고 밝혔다.
----------------------------------------------------------------------------------------------------
<제7회 인권보도상 심사평>
올해 제7회째를 맞은 인권보도상이 최대 풍작을 거뒀습니다.
인권보도준칙의 확산과 정착을 목적으로 국가인권위원회와 한국기자협회가 2011년 공동으로 제정한 인권보도상 심사에 39건이 올라왔습니다. 역대 최고 기록입니다. 출품작의 숫자가 많아지면서 질적 수준도 매우 높아졌습니다.
그동안 아동, 장애인, 성 소수자, 여성, 이주민 등 국내 약자들에게 집중된 감시 범위가 크게 확대되고 연속 보도가 많아진 것이 이번 출범작의 특징입니다.
관행의 무게에 짓눌린 간호사 세계의 억압 실태를 고발하고 외국 소수 민족의 인권유린 현장으로 출동해 카메라를 들이댄 작품 등이 눈에 띄었습니다.
심사는 국가인권위와 학계, 언론계, 시민단체 대표들이 출품작별 점수를 매긴 다음에 난상토론을 통한 정밀검증을 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수상작은 이주 아동, 청소년 노동, 국외 인권 등 6개 분야로 나눠 1건씩 선정했습니다. 특정 분야에 상이 겹치지 않도록 하려는 조처였습니다.
올해 대상은 동아일보의 '그림자 아이들' 시리즈 및 후속보도가 차지했습니다. 인권 사각지대에 방치된 국내 미등록(불법 체류) 이주 아동의 참상을 들춰낸 기획보도입니다. 한국인도 외국인도 아닌 채 버림받은 아이들이 맞아도 신음조차 하지 못하는 인권의 그늘을 3명의 기자가 추적해 이슈화한 공로로 최고 점수를 얻었습니다.
5개 본상도 대상과 우열을 선뜻 가리지 못할 정도로 인권 기여도나 기사 완성도 측면에서 우수했습니다.
CBS는 성심병원 간호사들의 선정적 장기자랑 과정에서 인권이 얼마나 침해되는지 생생하게 알림으로써 우리 사회의 인권 의식의 변화와 제도 개선을 견인했다는 찬사를 받았습니다.
한겨레는 제주도에서 고교생 이민호 군이 숨진 것은 특성화고 현장실습 제도의 구조적인 병폐에서 비롯됐다는 점에 착안해 참사 원인과 과정을 짚어주고서 모범적인 해법을 제시했습니다.
한국일보의 '비극의 로힝야족 난민캠프 최초 르포'는 인권 보도의 범주를 국외로 확장한 작품입니다. 국내 언론 최초로 방글라데시-미얀마 접경지대로 잠입해 탄압받는 이슬람 로힝야족의 참상을 생생하게 파헤친 노력이 호평을 받았습니다.
프레시안이 기획한 '한국 해외입양 65년'은 상당수 국외 입양인이 겪어온 파양, 학대, 추방 등 고통이 궁극적으로 한국 입양 법률과 시스템의 문제에서 비롯됐음을 고발한 참신성이 돋보였습니다.
'70년 만의 재심...끝나지 않은 제주 4.3 수형인'(제주 CBS)은 군법회의로 처형되거나 수형인으로 한평생을 살아온 희생자와 유족에 초점을 맞춘 신선함과 감투정신이 뛰어났다는 데 심사위원들이 공감했습니다.
다른 출품작들도 인권 의식을 일깨우는 데 큰 역할을 했는데도 상을 주지 못해 몹시 아쉬웠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인간 존엄성 향상은 경제와 문화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듯합니다. 차별과 혐오, 학대 사례가 여전히 빈발하고 있습니다. 언론이 감시의 근육을 단련하고 돋보기와 망원경을 들이대 인권 취약 지점을 낱낱이 찾아내야 하는 이유입니다.
기사 작성 때 인권보도준칙을 철저히 지켜 대중의 언어에서부터 인권 문제를 없애려는 노력도 언론의 몫입니다. 취재 현장에서 더욱 분발해 내년엔 인권 파수꾼으로서 훨씬 알찬 열매를 맺기를 기대합니다.
/황대일 심사위원장(연합뉴스 콘텐츠총괄본부장)
김성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