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MBN은 지난달 27일 방송통신위원회의 재승인심사 결과, 총점 1000점 중 651.01점을 얻어 재승인 기준을 충족했다. 하지만 ‘방송발전을 위한 지원계획의 이행 및 방송법령 등 준수여부’ 항목 점수가 37.06점(총 100점)으로 과락이 나오면서 조건부 재승인을 받았다.
이날 설명회에선 방통위의 조건부 재승인 탓에 4개 부서를 분사할 수밖에 없는 이유와 분사하지 않을 경우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하다는 점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또 분사하더라도 임금체계, 복지혜택, 정년보장, 노조활동 등은 기존과 동일한 조건을 유지할 수 있고 소속만 새롭게 만들어지는 법인으로 변경된다는 점이 여러 차례 언급됐다.
특히 회사 측은 매년 매출과 영업이익 등이 10%가량 증가하더라도 분사하지 않을 경우 매년 100억원 가량의 적자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럴 경우 이들 부서뿐 아니라 전체 구성원들에게도 임금 삭감 등의 불이익이 돌아갈 수밖에 없다는 점도 함께 덧붙여졌다.
반면 이들 4개 부서를 분사해 별도의 회사가 되면 소폭 흑자나 손익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타 종합편성채널(종편)의 경우 유사 부서인력 200~260명가량이 별도의 법인에서 근무하는데 비해 MBN은 이들 부서 인력 198명(파견직 포함)이 본사 소속이라 인건비 등이 ‘프로그램 제작비’(방통위 방송제작비 선정기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중계차량 운영에 따른 비용조차 이런 기준 탓에 나머지 종편 3사와 차별받는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2014년에도 방통위로부터 같은 지적을 받아 분사 논의가 수면 위로 올라왔지만, 당시엔 경영진의 반대로 묻혔다. 대신 시정명령 미이행에 따른 과징금 부과 등에 대해 법적 소송으로 대응했지만 모두 패소했다.
분사 일정에 대해서도 방통위의 평가가 이달부터 새롭게 시작됐기 때문에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게 회사 측의 기본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회사 측은 이들 부서를 자회사로 분사하지 않을 경우 내년부터 100억원 이상의 적자가 불가피하고 그렇게 되면 전체 직원의 임금 삭감 등을 피할 수 없다는 점을 설명했다”며 “현재 근무하는 직원들의 고용 불안감도 있지만 앞으로 입사할 직원들의 처우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고 지적했다.
김창남 기자 [email protected]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