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수신료 인상 꺼내자마자 반대 직면

언론시민단체 "시청자 고려하지 않은 주장"

조대현 KBS 사장이 지난 1일 서울 여의도 KBS 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디어 산업의 위기 속에서 공영방송의 제 역할을 위해 수신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호소했다. 그러나 언론시민단체들은 “시청자를 고려하지 않은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현재 KBS의 수신료는 2500원으로 1981년 이후 35년째 동결상태다. KBS는 2007년, 2010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국회에 수신료 인상안을 제출했으나 1년 넘게 계류 중이다. KBS는 수신료를 4000원까지 인상해 현재 수입의 38.3%인 수신료 비중을 53%까지 높인다는 계산이다.


조 사장은 “수신료가 인상되면 KBS 광고수입을 2000억원 축소해 4100억원 수준으로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2TV의 경우 평일 밤 9시까지, 주말은 오후 2시까지 광고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 2라디오는 오후 5시부터 다음날 오전 8시까지 광고를 없애고, 로컬방송과 DMB는 완전 폐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신관 국제회의실에서 조대현 사장이 수신료 현실화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그러나 단가가 높은 프라임타임 광고는 포기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황근 선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광고판매율이 30%도 안 되는 시간대의 광고를 줄이고 프라임타임에 집중적으로 팔겠다는 의미인데, 이런 식으로는 광고 수입이 본질적으로 줄지 않는다”며 “전체 KBS 예산이 얼마인지, 수신료가 올라간 만큼 광고를 얼마나 줄일지 분명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KBS의 보도 공정성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조 사장은 “공정성은 언제나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지난 3월 ‘공정성 가이드라인’을 제정했고 KBS는 어느 언론사보다도 보도의 공정성을 중요한 가치로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수신료 인상의 전제조건은 KBS가 진정한 공영방송이 되어야 하는데 지금 KBS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며 “사장이 제시한 공정성 확보 방안은 공정성에 대한 의지도 실현 가능성도 읽어낼 수 없을 정도로 초라하기 짝이 없다”고 논평했다. 


언론개혁시민연대도 “조 사장의 기자회견이 6월 국회를 겨냥한 여론전이라는 것은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일”이라고 일갈했다.


전국언론노조는 “정치권과 KBS는 수신료 인상을 원한다면 먼저 KBS뿐만 아니라 MBC와 EBS를 포함하는 공영방송이 공정성과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이사와 사장 선임 제도를 바꿔야 한다”며 “지금처럼 청와대 입김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상황에서는 시청자와 국민이 바라는 언론 독립은 불가능하고 시청자 신뢰도 되찾을 수 없다”고 밝혔다.



김희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