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주장] 이젠 생산적 개혁논의를 할 때다
언론사 세무조사를 둘러싼 논란이 도무지 식을 줄 모른다. 언론사들끼리, 정치인들끼리 패거리를 지어 삿대질을 끊임없이 해대고 있다. 우리 국민들은 국론분열이라는 고색창연한 용어가 이토록 실감나는 경우를 최근에 겪은 적이 없다. 그래서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언론은 전쟁터가 아니다. 우리는 이제 서로의 가슴에 칼을 휘두르는 상황을 접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언론이라는 이름을 더 이상 욕되게 하지 말고 서로 한 발 물러서 무엇이 진정으로 언론발전을 위한 길인지 논의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사 이기주의에 바탕한 보도를 중단해야 한다. 모든 상황을 자사의 논리에 꿰맞춰 보도하는 행위, 자사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해 지식인들을 지면에 동원하는 일을 자제해야 한다. 지명도 있는 문인 등을 통해 계속 논란을 확대해 나가는 태도는 지나친 상업성 일 뿐 만 아니라 반사회성으로 지탄받아 마땅하다. 또 각 언론은 교묘한 설문을 통해 네티즌들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는 유치한 작태도 끝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솔직한 반성에 기초한 내부개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최근 경향, 한겨레신문이 1면 사고를 통해 세금추징 내역을 공개하고 국민들에게 사과한 것은 그런 노력의 하나로 보인다. 투명한 경영과 진실 보도로 언론의 정도를 지켜가겠다는 다짐에 진정성이 깃들어 있다. 다만 두 신문이 ‘상대적으로 깨끗한 상황’을 이른바 메이저 매체들을 몰아붙이는 근거로 삼지는 말았으면 한다. 차별화를 통해 신문의 생존과 발전을 꾀하는 일은 나무랄 바 아니나 지금의 국면은 오히려 내부의 건강을 돌보는 일에 힘쓸 때다.
우리는 이번 세무조사에 크게 반발한 언론사 중의 하나인 동아일보 기자들이 모여 언론의 정도에 대해서 진지한 토론을 벌인 것을 매우 반갑게 생각한다. “정부의 언론탄압에 저항을 해야 한다”는 주장에 맞서 “반성할 것은 반성해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았다는 후문이다. 큰 신문사의 기자들이 사주의 사병이 돼 있다는 시각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참으로 건강한 모습이다. 앞이 캄캄한 언론계에서 새로운 희망의 빛을 보는 듯 하다.
이런 흐름이 궁극적으로는 언론 환경의 질적인 개선을 위한 논의에까지 이르러야 한다. 그것은 안으로는 판매시장의 정상화, ABC제도의 정착을 들 수 있고, 밖으로는 언론발전위원회 등 개혁 지향의 기구 구성을 꼽을수 있다. 나아가 미디어 소유지분 제한과 편집권 독립장치의 명문화 등을 골자로 하는 정간법 개정 논의가 활성화돼야 한다.
편집국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