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언론 "안보, 안보, 안보"

6·25 60주년·천안함 사태에 안보 강조 '부쩍'

“남북관계 큰 틀 맥락서 보도해야”

보수언론을 중심으로 ‘안보’라는 단어가 남용되고 있어 ‘신 안보정국’을 방불케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천안함 침몰, 6·25 전쟁 60주년, 전시작전권 환수 연기 등이 이슈가 되면서 보수 신문들은 국가 안보를 전면에 내세우는 기사와 사설을 끊임없이 내보내고 있다.

‘안보 숨통 열어준 전작권 전환 연기 결정’(중앙 28일자), ‘전작권 전환 연기는 안보불안 없앨 최선의 길’(한국경제 27일자) 등 사설을 비롯해 6·25 특집 기사들이 그것이다. 게다가 방송사에선 각종 전쟁 드라마 등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김영호 언론개혁시민연대 대표는 “6·25 60주년과 천안함 사태 등을 빌미로 가상의 전쟁을 상정하고 불안을 조장하는 보도, 전쟁의 참혹성을 되살려 과거처럼 안보를 강조하는 시도들이 되풀이되고 있다”며 “특히 보수신문에서는 평화 공존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고 이는 기득권 유지를 위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보수신문들은 사설을 통해 한반도의 불안과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민의 안보의식 해이를 질타하는 목소리도 높다.

일례로 문화일보는 24일자 사설 ‘6·25 남침 60년…從北세력 척결은 국가적 과제다’에서 “한국 사회 일각의 친북·종북 행태와 안보의식 해이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확인시켜주는 예는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라며 “국민 전체가 국가관·안보관을 확고히 다지면서 6·25 참전용사들에 대해 최대한의 예우를 하고, 국군포로와 납북자들의 귀환에 모든 노력을 다함으로써 대한민국 수호를 위해 목숨을 바치겠다는 각오를 새로이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동아일보는 25일자 사설 ‘전쟁 안 겪은 세대일수록 6·25를 알아야 한다’에서 “젊은 세대 가운데는 6·25가 언제 일어났는지, 누가 도발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다”며 “정부는 자라나는 세대에게 6·25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깨우쳐 주는 교육이야말로 대한민국의 정체성 바로 세우기와 직결돼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겨레 김종구 논설위원은 29일 칼럼 ‘강안남자의 안보의식을 원하는가’에서 “바야흐로 안보의식이 시대의 화두로 떠올랐다”며 “조금이라도 딴생각을 했다가는 ‘다른 나라 국민’으로 내몰리는 분위기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24시간 한순간도 방심하지 말아야 할 군이 사건 전후 어떤 모습을 보였는지는 여기서 되풀이하지 않겠다”며 “그것은 거창한 (안보)의식의 문제를 떠나 가장 단순한 직업적 책무의 문제”라고 질타했다.

경향신문은 25일 사설 ‘한국전쟁 60년, 그 집단의 기억과 상처를 생각함’에서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적의를 과장하느라 전쟁기념관으로 달려가고, ‘전쟁을 두려워하지도 않지만 전쟁을 원하지도 않는다’며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대통령의 입에서 전쟁론을 언급하는 지경까지 왔다”며 “우리는 과연 무엇을 했기에 60년이 지나도 평화스러운 삶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KBS를 비롯해 보수신문의 안보 분위기 조장은 좌파들을 모두 친북으로 모는 등 특정 이익집단의 정파적 이해관계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며 “시민들의 인식이 변화한 만큼 안보장사는 실패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남북 대립구도 속에서 평화와 전쟁이라는 개념을 떠나 남쪽 사람들의 행복은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춰 보도했으면 한다”며 “남북관계라는 큰 틀의 역사적 맥락을 보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왕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