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성·수익성 등 외부 컨설팅→추진위 구성→관련법 재개정 요청
언론인금고 자산 종자돈 활용→출연금·협찬금 등 통해 규모 확대 한국기자협회가 제안하고 있는 언론인공제회 설립은 언론인들이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비해 생활과 복지에서 무방비 상태에 놓여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회사와의 갈등에 따라 해직되거나 업무상 각종 재해·사고를 당한 언론인들이 줄을 잇는다.
언론사들의 경영의 악화에 따른 구조조정 등으로 고용의 안정성도 흔들린다.
생계 곤란을 겪어 이직하는 기자들도 늘고 있다.
사회에 기여하는 언론인 본연의 역할을 다하려면 이런 여건을 개선해야 하며, 언론인의 생활 안정과 복지를 도모하기 위한 공제회가 운영된다면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되리라는 것이다.
일선 기자들 사이에서는 “언론단체들이 힘을 모은 공제회가 설립된다면 동질의식도 있고, 신뢰도나 안정성 면에서도 외부 금융기관보다 나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지역 신문사 소속 한 기자협회 회원은 “언론인금고 이용도 생각해봤고, 일반 은행 대출도 받아본 적이 있으나 진입 문턱이 만만치 않았다”며 “언론단체 차원에서 공제회를 추진한다면 많은 기자들이 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협회에 따르면 언론인공제회 설립의 물꼬를 트기 위해서 일선 언론인들 사이의 여론 조성 및 언론 유관단체 간의 협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
한국기자협회를 비롯해 PD연합회, 인터넷기자협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언론재단, 한국신문협회,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등 각 언론 관련 단체들 간의 공감대와 공제회 설립의 타당성, 수익성 등에 대한 외부 컨설팅 용역이 필요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단체들이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세부 사항을 논의하고 문화관광부 및 정부에 관련법 재개정을 요청한다는 것이다.
언론인공제회가 설립된다면 여러가지 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회원들을 대상으로 공제적금, 대출, 보험 등의 사업을 벌일 수 있다.
각종 부조금, 호텔 및 콘도 할인, 카드 등 개발할 수 있는 복지 서비스도 다양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금융, 기업체 등에 투자하는 금융 활동도 가능하다.
언론인공제회로 가는 길이 간단치는 않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공제회를 설립하기까지 거쳐야 할 관문이 많다.
언론 관련 단체들이 필요성에 공감하더라도 재원 마련이 문제다.
기자협회는 일단 언론재단이 관리 중인 언론인금고의 자산 3백억원을 언론인공제회의 종자돈으로 활용하자고 주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출연금, 기업협찬금, 언론 관련 기금 통합, 각종 기부금 등을 통해 규모를 키운다는 계획이다.
전국 2만6천여명 가량으로 추산되는 언론인 및 언론단체 종사자들의 회원 가입 유도도 관건이다.
‘언론인’이라는 개념도 모호하다. 기자, 프로듀서, 기능직, 행정직 등 폭넓게 규정될 수 있는 언론인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잡느냐는 것이다.
언론인은 군인이나 교원과 달리 공적 기능을 하면서도 사적 영역에 걸쳐있는 특수한 존재라는 점에서 정부가 개입할 경우 특혜 시비가 나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국회 문광위의 한 관계자는 “언론인공제회 설립을 검토할 필요성은 충분하다”면서도 “논란이 될 수 있는 부분이 있어 신중하게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같이 여러 가지 문제가 예상되나, 이를 논의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언론인들의 공감대 속에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적 실체가 먼저 갖춰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언론재단 정남기 이사장은 “언론인 공제회를 설립하려면 ‘하기 쉬우냐 아니냐’가 아니라 ‘꼭 해야되느냐 마느냐’를 판단하는 게 더욱 중요하다”며 “후대에 이르기까지 유익한 재산을 물려준다는 의미에서 언론계가 뜻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장우성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